충주미덕중학교 로고이미지

강주신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통계포스터 만들기
작성자 강주신 등록일 19.09.25 조회수 123

통계포스터 만들기

어떤 과정을 거쳐야 할까?

​① 주제 정하기

계획 수립

자료 수집

자료분석

시각화하기

결론 정리

주제 선정 이유/ 조사 방법(연구 주제, 대상, 기간) / 분석 결과 / 결론 및 제언 /느낀 점 / 어려웠던 점 / 자료 정리 방법 한 가지

출처 :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 홈페이지

전국 학생통계 활용대회 홈페이지에서는 위의 순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 수업에 진행 방향과 비슷하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위의 6가지 과정이 저는 반드시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각 부분마다 선생님들이 주의 깊게 관심을 가져줘야 어느 정도 통계포스터의 모습이 갖춰집니다.

과정별 신경 써야 할 부분

주제 정하기

주제를 정할 때는 학생들이 좋아하고, 관심 있는 주제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내용이 너무 어려운 것보다는 가볍게 접근할 수 있는 주제가 좋을 것 같습니다. 대신 교육적으로 맞지 않은 내용이 나올 수도 있으니 어떤 주제를 선택하였는지 선생님이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계획 수립

계획 수립에서는 자료를 어떻게 수집할 것인지, 대상은 어떻게 정할 것인지 등을 정하게 됩니다. 저는 여기서 학생들에게 각자 역할을 정하도록 시켰습니다. 학생들이 조별 활동에 무임승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장치였습니다. 이외에도 모임을 할 날짜나 장소나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할지 등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기도 합니다.

자료수집

계획 수립에서 정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합니다. 네이버 폼이나, 구글 설문지를 활용한 온라인 조사 방법도 있고 설문지를 활용한 조사 방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학생들이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모르기 때문에 교사가 사전에 몇 가지 예시를 보여주고 그중에서 선택하게 하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기존의 자료를 이용하여 포스터를 만들 수도 있지만 좀 더 현실감 있는 포스터 만들기를 위해서는 직접 자료를 조사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자료 분석

자료 분석은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는 활동입니다.

줄기와 잎 그림, 도수분포표, 도수분포 다각형, 평균, 표준편차등을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자료 분석을 하도록 지도했습니다. 학생들이 자료를 어떻게 분석해야 할지 어려워하는 경우가 많아 통계포스터 수상작품을 학생들이 참고하도록 하였습니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저는 통계포스터를 만들기 전 한 시간을 할애하여 학생들에게 통그라미나, 이지 통계 등을 활용한다.. 자료를 분석할 때 직접 그래프들을 그리면 시간이 오래 걸릴 것 같아 이 프로그램들을 활용하면 좋다.

시각화하기 및 결론 정리

시각화하기는 우리가 알고 있는 포스터의 결과물을 만드는 작업을 뜻합니다. 학생들에게 그냥 만들라고 하면 특정 내용만 적을 것 같아 저는 사전에 어떤 항목을 작성해야 하는지를 제시했습니다.

이 정도는 포스터에서 드러나야 통계포스터 다운 느낌이 들 것 같다

통그라미 : 크롬설치후 통그라미다운받아 사용.

이지통계 : ebs에 접속 하면 프로그램 사용 가능.

 

이전글 창의력 향상
다음글 통계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