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덕중학교 로고이미지

보건 정보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유행성눈병 및 유행성 볼거리예방
작성자 경덕중 등록일 08.08.26 조회수 234
첨부파일

  가정통신문

학부모님께
안녕하십니까?
여름방학동안 해수욕·수영장 등에서 발생한 전염력이 강한 유행성 눈병과 유행성이하선염(일명 볼거리) 등 2학기 개학과 동시에 학산될 우려가 있고 최근 국내 일부지역에서 동 질환자가 발생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으니, 학부모님께서는 자녀의 동질환 예방을 위하여 철저한 손씻기 등 개인위생 관리수칙을 준수토록 지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유행성 눈병 예방수칙>

1. 유행성눈병이란?
▶ 유행성각결막염과 급성출혈성결막염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습니다. 유행성 눈병은 바이러스의 감염으로 발병하는데,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눈에 모래가 들어간 것 같은 이물감, 눈이 토끼처럼 발갛게 보이는 충혈, 통증, 가려움, 눈곱, 눈물흘림 등이 나타나며, 주변사람들에게 전염을 시킵니다. 유행성 눈병이 발병했을 경우에는 즉시 안과에 찾아가 진료를 받아야 하며, 더욱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 예방입니다.

2. 눈병의 증상과 전염력은?
- 유행성각결막염: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하여 발생되며, 바이러스가 들어간 후 5일 정도 후에 발병하게 되     면 3-4주간 지속됩니다. 각막 표면의 상피세포의 손상으로 빛을 보면 눈이 아픈 현상도     나타날 수 있으며, 이 때 심한 경우 시력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급성출혈성결막염:
   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데, 유행성각결막염에 비해 결막에 출혈이 심하므로 눈     이 훨씬 더 빨갛게 보이고 더 심한 증상을 나타냅니다. 보통 바이러스가 눈에 들어 간     지 1~2일 후에 발병하여 5~7일 정도에 끝나므로 회복은 빠른 편입니다.

3. 눈병을 예방하려면?
▶ 손을 씻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항상 비누를 사용하여 흐르는 수돗물에 손을 자주 씻     도록 합니다.
* 올바른 손 씻기

1)흐르는 물에 손과 팔목을 적십니다.


2)충분한 양의 비누를 바릅니다.

3)손바닥과 손바닥을 마주대고 문지릅니다.


4)손바닥을 깍지 낀 상태에서 손바닥으로 손등을 닦습니다.
5)손가락을 깍지 낀 상태에서 양손바닥을 닦습니다.
6)두 손을 깍지 낀 상태로 돌리면서 씻습니다.


7)반대편 손으로 엄지손가락을 쥐고 돌리면서 씻습니다.




8)손톱 밑을 주의해서 씻습니다.
9)흐르는 물에 비눗기를 완전히 씻어냅니다.


10)종이수건으로 물기를 닦습니다.


▶ 주변에 눈병환자가 있을 때에는 수건이나 이불, 세숫대야, 개인 소지품(컵, 필기도구 등)     을 같이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 눈에 이상이 있을 때는 손으로 비비거나 만지지 말고 안과로 가서 진료를 받아야 합니     다.
▶ 눈병에 걸린 친구는 다른 친구들과 손을 잡는다거나 하는 접촉을 삼가 합니다.
▶ 눈병에 걸린 친구는 발병 후, 약 2주 동안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는 피하도록 합니다.  
▶ 눈을 되도록 만지지 않도록 합니다.
▶ 수영장, 목욕탕 등의 대중시설은 삼가 합니다.
▶ 끓일 수 있는 것들은 끓여서 소독하고, 책상, 컴퓨터 자판, 마우스 등을 500ppm 농도     의 치아염소산나트륨(락스)을 이용하여 닦습니다.
▶ 안대는 눈의 온도를 높여 세균증식을 유발시키므로 꼭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착용     하지 않습니다.  
▶ 과일, 채소, 물을 충분히 먹도록 하며, 충분한 잠을 잡니다.
▶ 치료용 안약은 다른 사람과 함께 사용하지 않습니다.
2007.8.28
경 덕 중 학 교 장
붙임1
유행성이하선염(볼거리) 예방관리 요령

1. 병원체
  ○ 유행성이하선염 바이러스는 Paramyxovirus과에 속하는 90~300nm의 RNA virus이며, 감염성은 ether, 0.1% formaldehyde, -propiolactone, 자외선, 또는 50℃~60℃(20분)가열로 없어지지만 4℃에서는 수일간, -20℃에서는 수주일간 감염성이 유지됨

2. 전파양식
  ○ 전파 방식은 환자에 의한 직접적인 접촉 또는 비말(droplet), 다른 오염된 물질이 코나 입으로 들어가서 감염되며, 잠복기는 약2~3주간이고 전염기간은 발병 7일 전부터 발병 후 9일까지 임.

3. 증상 및 증후
  ○ 감염 후 16~18일간의 잠복기를 거쳐 발열, 두통, 근육통, 식욕부진, 구토 등의 전구증상이 1~2일간 나타남
  ○ 또한 침샘(주로 귀밑샘) 부위가 단단하게 부어 올라 동통과 압통을 느끼게 되며, 붓기 시작한 후 1~3일째 최고조에 도달해서 3~7일 이내에 차차 가라앉음
  ○ 합병증으로는 뇌수막염, 고환염, 부고환염, 난소염, 췌장염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감염자의 약 1/3은 불현성 감염으로 무증상을 보인다.

4. 환자관리
  ○ 유행성이하선염 환자의 관리방법으로 침샘(주로 귀밑샘)이 붓기 시작한 날부터 종창이 가라앉거나 발병 후 9~10일 동안 호흡기 격리 조치

5. 예방법
  ○ 특이요법은 없고 MMR 백신을 접종하면 예방이 가능함
  ○ 약독화한 백신의 예방효과는 95%로 평생면역이 생기며, 백신은 생후 12-15개월 경과후 투여하고 4-6세에 접종(단, 바이러스가 태반을 통과하므로 임신한 부인 투여금지)

6. 기타 질환자 즉시 신고조치
  ○ 환자 : 유행성 이하선염에 합당한 임상적 특징을 나타내면서, 해당 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자
  ○ 의사환자 : 임상적 특징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유행성이하선염임이 의심되나 검사방법에 의해 해당 병원체 감염이 확인되지 아니한 자


이전글 열손상 응급처치(가정통신문)
다음글 비만예방 가정통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