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덕중학교 로고이미지

보건 정보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인터넷 중독 예방
작성자 경덕중 등록일 08.08.26 조회수 247
첨부파일
학생 보건교육-인터넷중독 예방교육      2007. 7. 5            경덕중학교

인터넷 중독 예방
1) 인터넷 중독: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중독 양상을 보이는 것을 말함.
즉, 인터넷을 과도하게 사용하고, 인터넷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면 불안, 우울, 초조하여 다시 인터넷을 사용하고 싶은 욕구가 극도로 강해지는 등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를 말함.
→ 결과적으로 학업, 사회, 직업 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2) 인터넷 중독의 증상
♣ 강박적 집착과 사용
 인터넷을 하지 않는 동안에도 인터넷을 할 생각만 한다.
 인터넷에서 뭔가 새로운 일이 일어나고 있을 거 같은 생각에 사로잡혀 있다.
 대부분의 시간을 인터넷을 사용하는 데 보낸다.
 처음에 의도했던 시간보다 더 오래하게 된다.
♣ 내성과 금단
 만족하기 위해서 점점 더 많은 시간을 인터넷 사용으로 보낸다.
 만족하기 위해서 점점 더 자극적인 것을 찾는다.
 인터넷을 하지 않으면 불안, 우울, 초조감에 시달린다.
 인터넷을 하게 되면 마음이 편안해진다.
 수업 중에서 게임소리가 귓전을 맴돈다.
 밤에 잠자리에 들어도 눈이 말똥말똥해지며 다음에 인터넷을 할 생각에 빠진다.
 밤마다 잠자리에 누워 천장이 컴퓨터 화면으로 보이고, 그 속에 장면이 어지럽게 펼쳐진다.
 컴퓨터를 하고 있지 않는 동안에 자신도 모르게 컴퓨터 자판을 두드리고 있다.
3) 인터넷이 청소년들에게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 학습
 인터넷으로 손쉽게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영어공부, 동호회 등
 전 세계의 다양한 정보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다.
☞ 교사의 열정과 가치관이 전달되지 않는다.
☞ 현장감이 떨어져서 집중력이 저하되어 오랜 시간 집중이 안된다.
♣ 건강
건강에 대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환우회
☞ 지나치면 만성피로, 불규칙한 식사로 인한 영양실조나 과식, 운동부족으로 인한 체중증가
☞ 장시간 사용 시 복합적 증후군인 VDT(Visual Display Terminals)증후군
VDT 증후군의 증상
 눈이 건조해지면 눈의 피로감과 충혈, 이물감, 따가움, 눈부심과 눈물흘림, 구역질 등을 하기도 한다.
 가까운 화면에 오래 초점을 맞추다 보면 눈이 과도하게 긴장되어 구토, 두통, 난시나 사시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손목, 손가락이 저리고 목, 어깨, 팔 등에 통증을 느끼게 된다.
 이와 같은 VDT증후군의 초기 증상이 6개월~1년 이상 만성화되면 탈모현상, 시력감퇴, 소화불량, 생리불순 등의 증상이 생길 수 있다.
 심한 경우 혈압상승, 심장마비 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3) 인터넷 중독의 결과: 일상생활 장애
 인터넷에 한번 접속하면 그만두기가 어렵다
 인터넷 사용을 줄이거나 조절하려는 욕구가 지속적으로 있었지만 실패한다.
 인터넷을 하기 위해 다른 일을 미루거나 포기한다.
 인터넷 사용으로 수면시간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 인터넷을 하기 위해서 거짓말을 자주 한다.
 인터넷 사용에 방해를 받으면 몹시 화내거나 따로는 부모에게 반항한다.
 인터넷을 하느라 중요한 약속을 어기거나 공부 및 직장 일을 소홀히 한다.
 친구를 만나지 않고 취미활동에도 관심이 없어진다.
 가족과 보내는 시간이 줄어들며 가족과도 소원해진다.
 부모에게 불복종하며 심하면 가출한다.

3. 건강한 인터넷 사용을 위하여

1)인터넷 중독 예방지침
컴퓨터는 가족이 있는 곳에 둔다.

2)건강을 위해 올바른 컴퓨터 사용 자세를 유지한다.

☞ 자세:
 의자에 앉을 때 눈의 위치는 모니터보다 약간 위(15~30°정도)로 하여, 모니터를 약간 내려다보도록 하는 것이 좋다.
 모니터와 눈과의 거리는 약 50cm를 유지한다.
 목과 등은 곧게 편다. 특히 거북이목이 되지 않도록 주의
 다리는 꼬지 말고 자연스럽게 나란히 앉는다.
 허리는 곧게 펴서 의자 등받이에 밀착시킨다.
 키보드 모서리에 손목이 닿게 되면 손목 관절에 무리가 오므로 손목받침대를 놓거나 수평이 되도록 한다.
 등(허리)이나 목을 돌린 상태에서 작업을 하면 몸 전체의 골격이 변형될 수 있으므로 모니터와 키보드를 마주한 자세로 앉는다.
☞ 조명:
 되도록이면 간접조명이 좋다.
☞ 기타:
 주기적으로 휴식을 취한다. 40분정도 사용했으면 10~15분 정도 쉰다.
 스트레칭으로 근육을 풀어준다.
 자주 창밖이나 먼 곳을 보며 눈의 피로를 풀어준다.
 방과 후 할 일을 먼저 한 후에 컴퓨터를 켭니다.
 학습이나 과제 수행을 위한 컴퓨터 활용을 늘립니다.
 하루에 사용하는 컴퓨터 시간을 미리 정해 둡니다.
 특별한 목적 없이 인터넷에 1시간 이상 머무르지 않습니다.
이전글 교직원7월 건강정보-뇌졸증 신호 생기면 빨리 병원으로
다음글 성매매 예방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