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1860년 최제우가 창시한 민족 종교로 기일원론과 후천개벽 사상, 인내천 사상을 특징으로 합니다. 2대 교주인 최시형이 교단과 교리를 체계화하였습니다. 1894년 농민전쟁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1905년 천도교로 개칭하였습니다.
동학의 발생: 동학이라는 명칭은 서학에 대립된 것으로, 최제우는 “나 또한 동쪽에서 태어나 동도를 받았으니 도는 비록 천도이나, 학은 동학이다”(논학문)라고 하였슴니다. 그리고 동학의 창시는 지배층의 착취로 농촌 경제가 파탄에 이르고 자본주의 열강의 침략에 대한 위기의식이 고조되었던 19세기 후반의 사회 상황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이루어졌습니다.
당시 조선은 심각한 사회적 혼란과 위기에 놓여 있었습ㅣㄴ다. 상품화폐경제의 발달로 농민층의 분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었고, 오랜 기간 외척의 세도정치가 지속되면서 정치 기강이 문란해져 지방관과 토호의 횡포와 착취는 더욱 심해지고 있습니다, 게다가 자연재해와 전염병이 주기적으로 반복되어 농민들의 삶은 매우 피폐해졌습니다. 도탄에 빠진 백성들이 각지에서 봉기를 일으키면서 사회 불안은 더욱 확산되었고, 서양 열강의 중국 침략 등으로 외세에 대한 위기감과 서학에 대한 반감이 커지고 있었습니다. 또한 <정감록>과 같은 예언서가 널리 유포되며 미륵신앙, 도참사상 등 다양한 형태의 반봉건적 민중사상이 확산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제우는 유ㆍ불ㆍ선과 같은 기존의 사상들로는 현실의 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고 보았습니다. 때문에 “나라를 돕고 백성을 편안하게 할 계책”(포덕문)을 내기 위해서도 천명(天命)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사상이 필요하다고 여겨 당시의 여러 사상들을 정리ㆍ융합하여 동학을 창시하였습니다. 그는 유ㆍ불ㆍ선이 비록 뜻을 달리하고 있으나 그 근원은 모두 하늘에서 비롯된 것으로, 동학은 이 세 가지 도에서 좋은 것은 취하고 나쁜 점을 버린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동학은 인본주의를 기반으로 인간 평등과 사회 개혁을 주장하여 사회의 변화를 갈망했던 민중의 호응을 얻었습니다. 동학은 사람은 본래 하늘의 성품을 가졌으므로 사람이 곧 하늘이요, 하늘이 곧 사람이 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자신을 포함한 모든 사람이 하늘처럼 존귀하므로 사람 대하기를 하늘을 섬기는 것처럼 경건하고 겸손하게 해야 한다고 강조하였습니다. 이러한 동학은 민중들에게 새로운 사회의 전망을 제시해 주며, 성리학의 지배이념에 대항하는 민중의 저항 이데올로기로서의 역할을 하였습니다. 동학은 지배체제를 옹호하고 있던 성리학과는 달리 당시 사회의 구조와 질서를 부정하는 혁명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한편, 동학은 1894년 전봉준 등이 주도한 대규모 농민봉기에도 큰 영향을 끼쳤는데, 동학과 이 사건의 관계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견해가 있습니다. 동학이 주체가 되어 농민봉기가 일어났다는 견해에서는 이 사건을 ‘동학혁명’, ‘동학운동’ 등으로 나타냅니다. 반대로 동학은 종교적 외피에 지나지 않았으며 봉건사회와 외세의 수탈에 맞선 농민의 항쟁이 주된 측면이었다는 견해에서는 ‘동학’이라는 표현을 넣지 않고 ‘1894년 농민전쟁’, ‘갑오농민전쟁’ 등으로 나타냅짇 그리고 반봉건ㆍ반외세의 농민전쟁이 주된 측면이지만 동학이 조직 동원이나 사상에 미친 영향도 무시해서는 안 된다는 견해에서는 ‘동학농민전쟁’, ‘동학농민운동’ 등으로 나타냅니다.
너무 힘듭니다. 동학교도들의 주장 1.동학농민 운동의 발발배경과 동학교도들의 주장 배경:외세의 침략, 조정의 자주적 개혁 실패, ㄷ동학교도들의 증가, 관리 부패 초기:동학을 종교로 인정하는것과 동학과 함께최제우를 인정해달라는 것 후기: 동학의 인정과 함께 부패한 정치를 바로 잡고, 일본과 서양세력을 몰아내는 것입니다.
②동학농민 운동의 전개 -전라고 고부 군수의 횡포를 참다 못한 농민들이 들고 일어나 농민 봉기로 번졌습니다. -점차 신분 제도를 없애고 세금 제도의 개선을 요구하는 개혁 운동으로 발전하게되었습니다.
③동학 농민 운동의 결과와 의의 -조청과 청나라. 일본군대가 동학군 진압에 가담하였습니다. -지도자였던 전봉준이 처형됨으로써 실패로 끝났습니다. -조선 정부가 갑오개혁을 추진하는데 영향을 주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