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원중학교 로고이미지

우유급식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우유의 역사
작성자 이광희 등록일 11.10.12 조회수 920

우유의 역사

 

가장오래된 기록
B.C. 3500년경의 것으로 인정되는 유프라테스(euphrates)계곡 근처 Al'Ubaid에서 발견된 벽화이다. 1922년 대영 박물관과 미국 펜실베니아대학 박물관의 연구진에 의해 발견된 이 벽화에는 외양간에 매어 있는 소, 젖을 짜 는 사람모습, 젖을 걸러내어 그릇에 받는 모습 등이 새겨져 있다.
성경 및 경전기록
B.C. 3000년 이전에 기록된 성경에도 가나안(Canaan : 오늘날 팔레스타인지역)을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며 우유에 대해서 수없이 언급되었으며, B.C. 600년경 인도 베다(Veda) 경전에도 석가모니(부처님)가 우유와 꿀로 만든 유미죽을 먹고 기력을 회복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기원전 기록
B.C. 2000년경 앗시리아 시대에는 가축 떼와 병사를 그린 벽화가 발견되는 등으로 보아 인류가 가축 및 그 우유를 이용한 역사는 매우 오래된 것으로 보인다. 고대 이집트, 그리스, 로마에서는 우유와 치즈, 버터를 고급식품으로 사용한 기록이 있으며 B.C. 400년경에 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는 "우유는 가장 완전한 식품"이라고 하였다.

우리나라 우유의 역사

기원전 기록
한반도에서 소를 가축으로 사육하고 식용이나 제물로 이용한 역사는 단군조선(B.C.1500년경) 이전으로 인정되고 있으나, 우유를 이용한 구체적인 기록은 1285년경 일연이 지은 삼국유사에 농축유제품을 의미하는 낙(酪)이라는 말이 처음 나온다.
그리고 일본의 문헌에는 6세기경인 고구려 평원왕때 복상(福常)이 유락을 만들었고 이를 일본에 전해주었다는 기록이 있다.
기원전 기록
고려 우왕때 국가상설기관으로 “유우소(乳牛所)”라는 목장을 설치하여 왕실과 귀족 등 높은 지위를 가진 사람들만 우유를 먹을 수 있었다.
기원전 기록
조선 순조(純祖) 때의 학자 홍석모(洪錫謨)가 지은 세시풍속서인 동국세시기 내의원에서는 우유를 식품으로 만들어 임금과 신하에게 준 내용과 “불전열반경성행품”에는 우유를 환자에게 먹이도록 한 내용이 있다. 세종때 “유우소(乳牛所)” 규모가 커지자 이의 폐단을 막고자 유우소를 폐지하였다.
 
숙종 때는 아무리 지위가 높아도 왕이 특별히 하사한 낙죽(우유죽)이외에는 먹지 못하도록 하여 낙죽(우유죽)은 보양식으로 왕이나 일부 귀족층만 먹을 수 있는 식품이었다.
 
이와 같이 우유가 대중화 되지 못하다 1902년 구한말(舊韓末) 농상공부기사로 근무하던 프랑스인 Short가 홀스타인 젖소를 도입함으로 일반화되기 시작했다.

자료출처 : 낙농진흥회 ( www.ilovemilk.or.kr )

이전글 상쾌한 아침 우유로 깨워
다음글 몸매관리, 어떻게 할까요? 다이어트와 피부관리 종결자, 우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