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근과 접사 |
||||||||||||||||||||||||||||||||||||||||||||||||||
---|---|---|---|---|---|---|---|---|---|---|---|---|---|---|---|---|---|---|---|---|---|---|---|---|---|---|---|---|---|---|---|---|---|---|---|---|---|---|---|---|---|---|---|---|---|---|---|---|---|---|
작성자 | 김순태 | 등록일 | 10.10.05 | 조회수 | 692 | |||||||||||||||||||||||||||||||||||||||||||||
1. 어근과 접사
(1) 어근 : 낱말의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부분 예) 사과나무 = 사과(어근) + 나무(어근)
(2) 접사 : 어근에 붙어 그 뜻을 제한함. ① 접두사 : 어근의 앞에 붙어 뜻을 제한함. 예) 날고기 , 맨주먹 ② 접미사 : 어근의 뒤에 붙어 뜻을 제한하거나 품사를 바꾸는 역활을 함. 예) 뜻을 제안하는 경우 - 지우개, 게으름뱅이 품사를 바꾸는 경우 - 소녀답다 ,높이 , 넓이 2. 낱말의 형성
(1) 단일어 : 하나의 어근만으로 이루어진 낱말 예) 밤, 나무, 바다 (2) 복합어 : 둘 이상의 어근이 결합되거나, 어근과 접사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낱말 ① 합성어 : 둘 이상의 어근이 결합된 말 예) 밤나무 = 밤 + 나무 , 여닫다 = 열다 + 닫다 ② 파생어 : 어근과 접사가 결합된 말 예) 햇밤 = 햇 + 밤 , 배게 = 배다 + -개
3. 합성어의 형성 방법
4. 파생어의 유형
(1) 접두사에 의한 파생어 : 뒤에 오는 어근의 의미를 제한함. 예) 맨발, 시퍼렇다, 개살구 (2) 접미사에 의한 파생어 : 어근의 뜻을 제한하고, 품사를 바꾸기도 함. 예) 개구쟁이, 지우개, 집게, 넓이
5. 접사의 다양한 의미
6. 관용어
(1) 관용어 : 둘 이상의 낱말이 결합하여 특별한 의미로 사용되는 관습적인 말 (2) 특징 * 일반적인 낱말로 이루어져 있으나 그 의미는 낱말의 본래의 의미와 관련이 없다. * 관용어 자체가 하나의 낱말처럼 쓰여 중간에 다른 성분을 추가하기 어렵다. * 유래담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 * 일반적인 표현보다 표현의 효과가 강하다. * 그 언어의 문화를 반영하므로 그 나라 사람이 아니면 관용어의 의미를 이해하기 어렵다. * 속담(민중의 지혜가 응축되어 널리 구전되는 민간 격언)이나 고사 성어(고사에서 연유된 말로, 교훈을 담고 있음), 격언(인생을 살아가는 데 도움을 주는 가르침) 등도 관용어에 속한다.
7. 자주 쓰는 관용어
(1) '눈'과 관련된 관용어 * 눈에 띄다 : 외모나 행동 따위가 특별하여 사람들의 주목을 받다. * 눈이 높다 : 어떤 것을 선택하는 기준이 높다. * 눈밖에 나다 : 어떤 사람의 미움을 받아 관심 밖에 놓이다.
(2) '물'과 관련된 관용어 * 물에 빠진 생쥐 같다 : 흠뻑 젖어 매우 초라해 보이다. * 물 건너 갔다 : 이미 일이 틀어져 소용 없게 되었다.
(3) '손'과 관련된 관용어 * 손에 땀을 쥐다 : 아슬아슬하여 마음이 조마조마하고 몹시 애달다. * 손을 떼다 : 하던 일을 도중에 그만두거나 하던 일을 끝마치고 다시 손대지 않다. * 손이 놀다 : 일거리가 없어 쉬는 상태에 있다. |
이전글 | 1학년 독서평가 예고 |
---|---|
다음글 | 사동, 피동 노래 부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