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평중학교 로고이미지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어근과 접사
작성자 김순태 등록일 10.10.05 조회수 692

1. 어근과 접사

 

(1) 어근 : 낱말의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부분

 예) 사과나무 = 사과(어근) + 나무(어근)

 

(2) 접사 : 어근에 붙어 그 뜻을 제한함.

① 접두사 : 어근의 앞에 붙어 뜻을 제한함.   예) 고기 , 주먹

② 접미사 : 어근의 뒤에 붙어 뜻을 제한하거나 품사를 바꾸는 역활을 함.  예) 뜻을 제안하는 경우 - 지우, 게으름뱅이

                                                                                      품사를 바꾸는 경우 - 소녀답다 ,높 , 넓

2. 낱말의 형성

 

(1) 단일어 : 하나의 어근만으로 이루어진 낱말  예) 밤, 나무, 바다

(2) 복합어 : 둘 이상의 어근이 결합되거나, 어근과 접사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낱말

① 합성어 : 둘 이상의 어근이 결합된 말

 예) 밤나무 = + 나무  ,  여닫다 = 열다 + 닫다

② 파생어 : 어근과 접사가 결합된 말

 예) 햇밤 = +   ,  배게 = 배다 + -개

 

3. 합성어의 형성 방법 

 대등  어근이 대등하게 본래의 뜻을 유지하는 합성어   예) 손발, 한두, 오가다, 앞뒤 
 수식  어근의 한 쪽이 다른 쪽을 수식하는 합성어    예) 손수건, 가죽신, 쇠고기 
 융화  어근을 하나로 융합하여 하나의 의미를 나타내는 합성어  예) 피땀, 강산, 바늘방석, 춘추(春秋)

4. 파생어의 유형

 

(1) 접두사에 의한 파생어 : 뒤에 오는 어근의 의미를 제한함.

 예) 발, 퍼렇다, 살구

(2) 접미사에 의한 파생어 : 어근의 뜻을 제한하고, 품사를 바꾸기도 함.

 예) 개구쟁이, 지우, 집, 넓

 

5. 접사의 다양한 의미

 

                        접사                     뜻                       예
  햇-  그 해에 난. 그해에 걷어들인   햇감자, 햇곡식, 햇나물 
  개-  참 것이 아닌, 좋은 것이 아닌, 함부로 된  개꿈, 개떡, 개죽음
  날-  익지 않은, 지독한  날고기, 날감자, 날생선
  풋-  아직 성숙하지 않은, 제대로 익지 않은  풋사과, 풋사랑, 풋고추
  설-  충분하지 못한  설익다, 설삶다
  덧-  거듭, 덧붙임  덧니, 덧신, 덧저고리
  -개  그다지 크지 않은 도구  깔개, 지우개, 덮개
  -꾼  어떤 일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  사냥꾼, 씨름꾼, 장사꾼
  -쟁이  독특한 습관·행동·모양 등을 지닌 사람  고집쟁이, 허풍쟁이
  -장이  수공업적인 기술로써 물건을 만들거나 수리하는 사람  대장장이, 옹기장이
  -답다  어떠한 성질이나 특성이 있음.  남자답다, 정답다

 

 

6. 관용어

 

(1) 관용어 : 둘 이상의 낱말이 결합하여 특별한 의미로 사용되는 관습적인 말

(2) 특징

* 일반적인 낱말로 이루어져 있으나 그 의미는 낱말의 본래의 의미와 관련이 없다.

* 관용어 자체가 하나의 낱말처럼 쓰여 중간에 다른 성분을 추가하기 어렵다.

* 유래담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

* 일반적인 표현보다 표현의 효과가 강하다.

* 그 언어의 문화를 반영하므로 그 나라 사람이 아니면 관용어의 의미를 이해하기 어렵다.

* 속담(민중의 지혜가 응축되어 널리 구전되는 민간 격언)이나 고사 성어(고사에서 연유된 말로, 교훈을 담고 있음), 격언(인생을 살아가는 데 도움을 주는 가르침) 등도 관용어에 속한다.

 

7. 자주 쓰는 관용어

 

(1) '눈'과 관련된 관용어

* 눈에 띄다 : 외모나 행동 따위가 특별하여 사람들의 주목을 받다.

* 눈이 높다 : 어떤 것을 선택하는 기준이 높다.

* 눈밖에 나다 : 어떤 사람의 미움을 받아 관심 밖에 놓이다.

 

(2) '물'과 관련된 관용어

* 물에 빠진 생쥐 같다 : 흠뻑 젖어 매우 초라해 보이다.

* 물 건너 갔다 : 이미 일이 틀어져 소용 없게 되었다.

 

(3) '손'과 관련된 관용어

* 손에 땀을 쥐다 : 아슬아슬하여 마음이 조마조마하고 몹시 애달다.

* 손을 떼다 : 하던 일을 도중에 그만두거나 하던 일을 끝마치고 다시 손대지 않다.

* 손이 놀다 : 일거리가 없어 쉬는 상태에 있다.

이전글 1학년 독서평가 예고
다음글 사동, 피동 노래 부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