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국'이라는 말은 나라를 외적으로부터 지키고 보호함, '보훈'이라는 말은 공훈에 보답함. 즉 '호국보훈'이란 외부로부터 나라를 지키며, 나라를 아끼고 사랑하자는 뜻이다. 유관순, 안중근,
안창호 등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호국보훈의 대표적 인물들이다.
유관순 [柳寬順, 1902.12.16~1920.9.28]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로 아우내 장터에서 군중에게 태극기를 나눠주는 등 만세시위를 주도하다가 체포되어 옥사하였다. 충청남도 천안(天安)에서
태어났다. 1915년 선교사의 소개로 이화학당 보통과 2학년에 편입하였으며, 1918년에는 고등과 교비생으로 입학하였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학생들과 함께 가두시위를 벌였고, 학교가 휴교에 들어가자 만세시위를 지휘하기 위하여 고향으로 내려갔다.
천안·연기(燕岐)·청주(淸州)·진천(鎭川) 등지의 학교와 교회 등을 방문하여 만세운동을 협의, 4월 1일 아우내[竝川] 장터에서
3,000여 군중에게 태극기를 나누어 주며 시위를 지휘하다가 출동한 일본 헌병대에 체포되었다. 이때 아버지 중권(重權)과 어머니 이씨(李氏)는
일본 헌병에게 피살되고, 집마저 불탔으며, 자신은 공주 검사국으로 이송되었다.
그곳에서 영명학교(永明學校)의 만세시위를 주도하다가 끌려온 오빠 관옥(寬玉)을 만났다. 그후 5년형을 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에서 복역 중
고문에 의한 방광파열로 옥사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1996년 5월 이화여자고등학교에서 명예졸업장을 추서하였다.
연도 |
나이 |
유관순의
생애 |
1904 |
|
충청남도
천안군 병천면 용두리 지령마을에서 유중권의 딸로 태어남. |
1905 |
2 |
을사보호조약이 체결됨. |
1910 |
7 |
한일합방조약이 조인됨. |
1911 |
8 |
아버지가
천원에 흥호 학교를 세움. |
1915 |
12 |
아버지가
일본인 고마다에게 매를 맞고 자리에 누움. |
1916 |
13 |
선교사
부인의 도움으로 사촌언니 애다가 다니는 이화학당 보통과 3학년에 입학함.
기숙사에서 생활하며 주위의 어려운
학생들을 도와줌. |
1918 |
15 |
이화학당
고등과 1학년이 되어 ‘잔 다르크’, ‘나이팅게일’ 전기를 읽고 크게 감명받음. |
1919 |
16 |
고종황제가
세상을 떠남. 31독립 운동이 일어남.
국현숙, 김희자, 유점선 등 5명과 함께
31운동에 참가하여 시위함.
3월 3일 조선총독부에서 휴교령을 내려
고향으로 돌아감.
천안, 청주, 공주, 조치원, 진천
등지를 돌아다니며 만세운동 참가를 권유함.
음력 2월 그믐달, 매봉산에 올라가 만세
운동을 알리는 횃불을 밝힘. |
1919 |
16 |
음력 3월 1일 아우내 장터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주도. 부모가
일본헌병의 총탄에 사망.
헌병대에 체포되어 고문을 당함. 공주재판소에서 징역 3년을
선고받음.
나이가 어리다는 점을 들어 석방시키라는 여론이
빗발침.
만세를 부르지 않으면 석방시키겠다는 재판장의 말을 듣고
격분함.
법정모독죄로 4년의 형이 추가되어 징역 7년을 선고받고 형무소에
갇힘.
감방 안에서 만세소동을 일으켜 독방에 갇힘.
심한 고문으로 병들었으나, 함께 고생하는 동지들을 도와주고
격려함. |
1920 |
17 |
음력 3월 1일 낮 12시, 대한독립만세를 부르다 간수들에게 고문당함.
고문으로 병이 심해져 병자가 있는 감방으로 옮겨짐.
10월 12일 아침, 병든 몸을 일으켜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다 세상을
떠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