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렴에 대한 이해 전통적 의미 청렴(淸廉)의 사전적 의미는‘성품과 행실이 높고 맑으며 탐욕이 없는 상태로 전통적으로 바람직하고, 깨끗한 공직자상을 지칭 하는 용어로 개인 수준에서의 도덕성에 초점에 두고 사용되어 왔다. 1. 청렴이란 무엇인가? * 오늘날의 의미 오늘날 청렴은 부패행위를 하지 않는 소극적 의미를 넘어서, 정의감을 근간으로 일상생활 속에서 공정성․투명성․책임성 등 바람직한 가치를 실천하는 적극적 의미의 행동기준으로 법적 강제성과 의무까지 부여하고 있다. * 청렴교육
청렴교육은 청렴 성향을 기르는 교육으로 반부패 교육을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부패행위를 하지 않으려는 소극적 행위와 아울러 적극적으로 자신의 역할에 따른 의무와 책임을 다하려는 행위 규범에 대한 교육이다. 부패는 불법적이거나 정당하지 않은 방법을 사용하여 자신의 이익을 얻거나 다른 사람이 이익을 얻도록 돕는 행위를 말한다. 반부패교육은 청렴교육과 같은 뜻이며 다음과 같은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부정부패를 방지하고자 하는 예방교육, 건전한 가치관 형성을 돕는 도덕교육, 사회의 부패현상을 인식하는 의식개선교육, 부정부패 행동을 교정하는 교정교육 < 질문 있어요! >
Q : 타인에게서 뇌물을 받아 불우이웃을 돕는데 사용한 것은 부패행위 인가요? A : YES. 부도덕한 이익이거나 사리사욕적인 이익이 아니더라도, 불법한 보수나 부정한 이익은 곧 뇌물이 됩니다. 사회단체 등에 기부한 경우에도 뇌물이 될 수 있습니다. Q : 나중에 돌려주더라도 뇌물수수 인가요? A : YES. 일단 자신의 이득으로 취하려는 생각이 있었다면 후에 반환하였다고 해도 뇌물은 받은 것입니다.
청렴 습관
청렴한 생활 습관은 학생들이 어렸을 때부터 민주시민으로서 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것으로, 6대 덕목을 꾸준히 실천하였을 때 길러지는 것이다. 한 개인으로 하여금 어린 시절부터 자연스럽게 청렴을 체득하도록 하는 것이 가정의 역할이다. 청렴과 관련된 6가지 덕목은 다음과 같다.
1) 치우지지 않는 공정- 개인적인 차이에 따라 차별하지 않고 누구에게나 동등하게 대하는 것 2) 내 몫을 다하는 책임- 자신에게 주어진 일을 다른 사람에게 미루지 않고 자기 스스로 열심히 하는 것 3) 함께 지키는 약속- 나와 아는 사람과 알지 못하는 많은 사람과의 약속 4) 욕심을 버리는 절제- 물건이나 에너지를 함부로 쓰지 않고 꼭 필요한 데에만 써서 아끼는 것 5) 진실을 위한 정직- 거짓이나 꾸밈이 없이 마음이 바르고 곧은 것으로 불의에 대항하는 용기도 포함 6) 공공을 위한 배려- 다른 사람을 존중하고, 상대방의 입장에 서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 < 청렴과 가정의 관계 >
개인의 청렴은 가정의 평화와 조직의 건강 그리고 사회발전의 공통된 요소이며, 상호작용 속에서 청렴문화는 성장해 간다. 청렴문화의 성장은 다시 사회적 기반 시설이자 자본으로 사회의 보이지 않는 비용을 축소시켜 국가 경쟁력을 강화 하고, 결국 개인의 삶의 질 향상으로 우리에게 보답해 준다. < 청렴한 부모, 바른 자녀 만들기! > * 참된부모란?
다음의 글을 읽고 참된 부모는 어떤 것인지 생각해 봅시다. 부모는 멀리 보라 하고, 학부모는 앞만 보라 합니다. 부모는 함께 가라 하고, 학부모는 앞서 가라 합니다. 부모는 꿈을 꾸라 하고, 학부모는 꿈을 꿀 시간을 주지 않습니다. 당신은 부모입니까? 학부모입니까? 부모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길, 참된 부모의 시작입니다. - 공익광고 중에서 - < 부모는 자녀의 거울 >
자녀들의 1차적 동일시 대상은 부모입니다. 부모의 가치관과 언행이 바르고 모범적이어야 한다. 부모가 정직하고 공평하고 땀 흘린 만큼 그 대가를 얻으려 할 때, 그 모습이 자녀에게 비춰져 자녀도 어릴 때부터 바른생활이 습관화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