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연초등학교 로고이미지

가정통신문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중증 열성 혈소판감소 증후군(SFTS)예방수칙
작성자 손영숙 등록일 13.05.24 조회수 660
첨부파일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예방수칙 】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방법

 

- 풀밭 위에 옷을 벗어 놓고 눕거나 잠을 자지 말 것

-식 및 새참 먹을 땐 돗자리를 펴서 앉고 사용한 돗자리는 세척하여 햇볕에 말릴 것

- 작업 중 풀숲에 앉아서 용변을 보지 말 것

- 작업 시 기피제 처리한 작업복과 토시를 착용하고, 소매와 바지 끝을 단단히 여미고 장화를 신을 것

- 밤따기나 등산 등 야외활동 시 기피제를 뿌리거나 긴 소매, 양말을 착용 할 것

- 작업 및 야외활동 후에 즉시 샤워나 목욕을 하여 진드기제거할 것

- 작업 및 야외활동 후 작업복, 속옷, 양말 등 세탁할 것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Q&A 】

최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에 대해 해외에서의 정보를 참고로 현재까지 알려진 사실에 대해 설명하고자 합니다.

 

1.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은 어떤 질병입니까?

2011년 처음 확인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주요 증상은 발열, 소화기 증상이며 중증화되어 사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2.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은 세계 어디에서 발생하고 있습니까?

2009년부터 중국에서 발생이 보고되기 시작하여 현재 중국은 11개성(랴오닝성, 산둥성, 장쑤성, 안후이성, 허난성, 후베이성, 저장성, 산시성, 장시성, 광시성, 후난성)에서 환자 발생이 보고되고 있음.

2013년 3월, 일본에서는 7개현(야마구치현, 에히메현, 미야자키현, 히로시마현, 나가사키현, 고치현, 사가현)에서 8례가 보고되었으며, 이 중 5명이 사망하였습니다.

2013년 5월, 국내에서도 사망환자가 있으며, 과거 사례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3. SFTS 바이러스는 어떻게 감염됩니까?

대부분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는 진드기에 물려 감염됩니다.

4.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에 걸리면 어떤 증상이 있나요?

원인불명의 발열, 소화기증상(식욕저하, 구역, 구토, 설사, 복통)이 주증상입니다. 두통, 근육통, 신경증상(의식장애, 경련, 혼수), 림프절종창, 호흡기증상(기침), 출혈증상(자반증, 하혈)을 일으 킵니다.

5. 진드기는 실내에서 보통 볼 수 있는 진드기와 다릅니까?

일반적으로 집에 서식하는 진드기와는 종류가 다릅니다. SFTS를 유발하는 진드기는 주로 숲과 초원 등의 야외에 서식하고 있으며, 시가지 주변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널리 아시아와 오세아니아에 분포하며, 일본에서도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습니다. 국내에도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하며 주로 들판이나 산의 풀숲에 서식합니다.

6. 어떤 진드기가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습니까?

중국에서는 작은소참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 등의 진드기류에서 바이러스가 발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진드기가 활동적인 봄부터 가을에 환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7. 이 병에 걸리지 않기 위해서는 어떻게 예방해야 할까요?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진드기의 활동이 왕성한 봄부터 가을 까지 특히 주의하여야 합니다. 이는 진드기매개 다른 감염병의 예방에도 유효합니다. 풀숲 이나 덤불 등 진드기가 많이 서식하는 장소에 들어갈 경우에는 긴 소매, 긴 바지, 다리를 완전히 덮는 신발을 착용하여 피부의 노출을 최소화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야외 활동 후 진드기에 물리지 않았는지 확인하도록 합니다.

8. 진드기에 물린 후 어떻게 해야 합니까?

진드기의 대부분은 인간과 동물에 부착하면 피부에 단단히 고정되어 장시간(며칠에서 10일간) 흡혈합니다. 무리하게 당기면 진드기의 일부가 피부에 남아있을 수 있으므로 진드기에 물린 것을 확인하였다면 즉시 병원에서 치료를 받도록 하여야 합니다. 또한 진드기에 물린 후, 발열 등 증상이 있는 경우에도 병원에 내원하여 진단을 받도록 하여야 합니다.

9. 인간 이외의 동물도 이 병에 걸릴 수 있습니까?

일반적으로 진드기는 야외에서 인간을 포함한 많은 종류의 동물을 흡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중국의 SFTS 발생지역에서는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동물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동물의 발병여부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10. 우리나라는 SFTS 바이러스가 이전부터 있었습니까?

바이러스와 이를 매개하는 진드기 자체는 이전부터 존재하고 있었다고 추정되고, 최근들어 감염된 진드기가 확인되었습니다.

 

2013년 5월 23일

장연초등학교장 이각훈

이전글 2013. 선행학습 방지 관련 가정통신문
다음글 2013학년도 토요돌봄교실 신청 안내 가정통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