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초등학교 로고이미지

공지사항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가을철 산불 예방 교육 자료
작성자 *** 등록일 18.10.19 조회수 411



산불의 주요원인

- 입산자 실수로 인한 화재
- 쓰레기 소각
- 논·밭두렁 소각


산림청이 밝힌 전국 산불 발생 통계를 보면 3~4월 산불 발생 건수가 194건으로 연간 발생한 산불의 49.3%를 차지하는데요.
가장 큰 원인은 건조한 날씨와 입산자의 사소한 부주의가 대부분이랍니다.

산불 예방수칙
산행 전 입산 통제 등을 확인하고 산불 위험이 높은 통제지역은 산행하지 않습니다.
입산 시 인화성 물질은 소지하지 않습니다.
산림에서 흡연이나 담배꽁초를 버리는 행위는 하지 않습니다.
불가피하게 불을 지필 경우, 간이 소화 장비를 꼭 갖춥니다.
신림인접지역에서 소각할 때 해당 관서에 사전 허가를 받은 후 불씨가 산림 쪽으로 가지 않도록 예방 조치합니다.

산불이 일어났다면? 혹은 산불을 발견 했다면?
우리는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요?

ㄱ. 119에 신고하기
산불을 발견하면 곧바로 119에 신고합니다.

ㄴ. 바람이 불 경우
바람이 부는 반대방향으로 대피합니다.

ㄷ. 대피하기(1)
산불보다 낮은 위치로 피합니다.

ㄹ. 대피하지 못했을 경우
낙엽이 적은 곳을 골라 엎드리고 얼굴을 가립니다.

ㅁ. 대피하기(2)
이미 타버린 곳, 저지대, 도로 바위 등으로 대피합니다.

ㅂ. 대피하기(3)
논, 밭 학교 등 공터로 대피합니다.

ㅅ. 취사는 허용된 곳에서만!
취사는 반드시 허용된 곳에서만 합니다.

ㅇ. 집 안에 있을 경우
창문을 닫고 집 주위에 물을 뿌립니다.

ㅈ. 집 주위 정리하기
집 주위 가스통 등 위험한 물건을 치웁니다.

*산행 시에는 라이터, 성냥 등을 사용하지 않고, 자동차 밖으로 담뱃불을 버리지 않습니다.

오늘 알려드린 산불 예방수칙과 대처요령을 잘 숙지하여 봄철 산행 안전하게 즐기시고, 우리의 소중한 자산 산림을 산불로부터 지켜냅시다.


출처: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2848903&memberNo=4496075&vType=VERTICAL

이전글 주택용 소방시설 의무설치
다음글 2018 가을 현장체험학습(1~4학년) 만족도 조사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