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광초등학교 로고이미지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학교 규칙 개정과 관련한 교원, 학부모, 학생 의견 설문조사
작성자 최현주 등록일 24.09.09 조회수 38

안녕하세요. 

홍광초등학교의 교육 발전을 위해 언제나 힘써주셔서 감사합니다. 

 

1. 「교원지위법」제18조 및 「교원지위법 시행령」제15조에 의하여 2024.3.28.부터 학교교권보호위원회가 교육지원청 지역교권보호위원회로 이관됨에 따라 학교규칙에서 학교교권보호위원회 내용 삭제[교육활동보호센터-2382(2024.7.5.)]하고자 합니다. 
2. 다문화학생 학력심의를 위한 학력심의위원회 관련하여 2023학년도 다문화학생 학력심의위원회 운영 도움자료[유초등교육과-11390(2024.8.24.)] 중 학교 학력심의위원회 운영 기준에 대해 작성된 58쪽~61쪽 내용을 바탕으로 학력심의위원회 관련 학칙 개정하고자 합니다.

 

1. 제16장 학교교권보호위원회 구성 및 운영에 관한 규정 제46조~제64조(삭제)


2. 제16장 학력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에 관한 규정 제46조~제56조(신설)
제46조(목적) ①학령기의 아동(만 6세 이상 18세 미만)은 출신과 국적에 관계없이 학습권이 보장되어야 하나, 난민, 무연고, 제3국 출생 탈북학생, 기타 이와 유사한 경우 학력 증명이 곤란하여 학교에 입교(입학, 취학, 편입학 등)할 수 없는 다문화학생과 외국인인 아동 또는 학생(이하 ‘학력 증명이 곤란한 다문화학생 등’)에 대한 학력인정과 학년결정을 위하여 교육감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학교장의 신청에 의하여 교육감이 지정한 ‘학교 학력심의위원회’의 설치 운영 절차를 마련한다. 
  ②「다문화가족지원법」 제2조제1호에 따른 다문화가족의 구성원 중 「민법」에 따른 미성년인자녀가 한국 사회 정착에 필요한 최소한 교육기회(의무교육 9년)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한다.
  ③「UN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에 의거하여 외국인 아동을 포함한 모든 아동은 최소한 교육기회(의무교육 9년)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한다.
제47조(학력심의위원회 구성) ① 학력심의위원회는 위원장 1명을 포함하여 5명 이상 1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② 학력심의위원회 위원은 학교장이 다음에 해당하는 자를 포함하여 임명하거나 위촉한다. 
     1. 교감 : 위원장 
     2. 다문화교육관련 교원
     3. 학력평가 전문가(교원 또는 외부전문가)
  ③ 위원은 학교장이 위촉하고, 외부 전문가의 경우 위촉장을 교부한다.
  ④ 위원으로 위촉된 자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학교장이 해촉할 수 있다.
    1. 위원으로서 품위를 현저하게 훼손한 자
    2. 위원으로 활동하는 과정에서 부적절한 행위를 한 자
    3. 그 밖에 해촉할 만한 사유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⑤ 학력심의위원회와 성격·기능이 유사한 학업성적관리위원회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학칙이 정하는 바에 따라 그 위원회가 학력심의위원회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
제48조(위원장의 직무) ① 위원장은 위원회를 대표하며 위원회 업무를 총괄하고, 회의 진행 시 그 의장이 된다.
  ② 위원장이 유고 시에는 위원장이 따로 지명한 위원이 그 직무를 수행한다.
제49조(위원의 임기) ① 위원장과 위원의 임기는 1년으로 하고, 각각 연임할 수 있다. 
  ② 위원은 본인이 원하거나 인사이동·질병·장기출타 및 품위손상 등으로 위원의 직무를 성실히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 학교장이 해촉할 수 있다.
  ③ 결원으로 인하여 새로 위촉된 위원의 임기는 전임자의 잔여임기 기간으로 한다.
제50조(학력심의위원회 심의사항) 학력 증명이 곤란한 다문화학생 등 또는 그 보호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학력인정 및 학년결정에 관한 사항
제51조(회의개최 및 의결) ①‘학력심의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사유가 발생할 때 위원장이 소집할 수 있다.
    1. 재적위원 3분의 1 이상 소집요구가 있을 때 
    2. 학교장의 소집요구가 있을 때
    3. 기타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 
  ② 학력인정을 위한 ‘학력심의위원회’는 필요시에 수시로 개최한다.
  ③ 위원장이 회의를 소집하고자 하는 때에는 사전에 각 위원에게 회의일시, 장소, 심의안건 등을 통지하여야 한다.
  ④ 회의는 재적위원 3분의 2 이상 출석과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⑤ 학력심의위원회는 심의 등을 위해 필요할 경우 관계공무원 또는 관계전문가의 의견을 들을 수 있다.
  ⑥ 학력심의위원회는 심의와 관련하여 다문화학생 등의 원활한 언어소통을 위해 영어 및 해당 국가 언어의 통(번)역을 지원할 수 있다.
제52조(회의록) ①학력심의위원회는 회의록을 작성·비치하여야 한다. 
  ② 회의록은 참석자 전원이 서명(날인)한 후 위원장과 간사가 확인 후 서명(날인)하여야 한다. 서명(날인)은 업무관리시스템의 ‘협조’ 절차로 대신할 수 있다.
제53조(운영세칙) 학력심의위원회의 운영에 관하여 이 규정에서 규정된 것 이외의 필요한 사항은 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학교장이 정한다. 
제54조(학력인정 및 학년결정 심의 대상) ① 학령기 아동으로서 초·중등학교에 입교(취학, 입학, 편입학) 신청을 하였으나, 학력인정과 학년결정을 하지 못해 입교할 수 없는 난민, 무연고, 제3국 출생 탈북학생 등 학력 증명이 곤란한 다문화학생 등(외국인인 아동 또는 학생 포함)으로, ‘학력인정 및 학년결정 신청서’를 제출한 자
  ② 다음에 해당되는 경우는 심의 대상이 될 수 없다.
      1. 입교 신청 없이 졸업학력만을 인정받기 위한 경우
      2. 학력 증빙 서류가 있는 경우 
      3. 학력 증명이 곤란함을 증명할 수 없는 경우(단순 서류 미비·지연, 오류 등은 사유가 될 수 없음)
제55조(학력인정 및 학년결정의 심의 원칙) ①학력 증명이 곤란한 다문화학생의 학력은 우리나라의 학령, 출신국 또는 제3국에서의 수학 기간, 현재의 학력수준, 본인 및 보호자의 희망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결정한다. 
   ② 교육과정 이수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소정의 구두면접과 언어·수리능력에 대한 학업능력을 평가하여 현재의 학력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③ 학력심의위원회는 심의에 필요한 경우 다문화학생 등에 대하여 전문기관을 통한 학습능력 평가 등 학력인정 및 학년결정을 위한 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제56조(학력인정증명서 발급 및 관리) ①학력심의위원회 위원장은 심의 결과에 의한 ‘학력인정 및 학년결정 심의의결서를 학교장의 결재를 받아야 한다.
   ② 학력심의위원회의 학력인정과 학년결정의 효력은 해당 ‘학력인정 및 학년결정 심의 의결서’에 대한 교육감 위임을 받은 학력심의위원회 운영 학교장 결재가 완료된 날부터 발생한다.
   ③ ‘학력인정 및 학년결정 증명서’2부를 작성하여 1부는 신청인에게 교부 하고 1부는 학교에 보관한다.
   ④ ‘학력인정 및 학년결정 심의의결서, ‘학력인정 및 학년결정 증명서’, ‘기타 학력인정 및 학년결정 관련서류’는 학력인정 및 학년결정 업무담당자가 일괄 작성하여 관리하며 준영구 보존한다.
   ⑤ ‘학력인정 및 학년결정 증명서’에 명시된 학교급, 학년(학기)로 입교(취학, 입학, 편입학) 처리 한다.
   ⑥  학력심의 결과 교육지원청에서 배정받은 학생의 학교급을 다르게 하여야 하는 경우, 교육 지원청에 통보(학교의 학력심의 결과 첨부)하여 다른 학교급으로 배정을 요청한다.

 

학교규칙 개정과 관련하여 의견이 있으시면 아래 주소에 작성부탁드립니다.

http://ksurv.kr/akM3Nzs_Nzk 

이전글 [제천 에듀페스타] 2024. 제천 청소년 창의융합 축제 안내
다음글 2학기 늘봄(방과후)학교 시작일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