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의 이해 |
좋아요:0 | ||||
---|---|---|---|---|---|
분류 | |||||
작성자 | 김종선 | 등록일 | 07.03.26 | 조회수 | 196 |
* 효의 이해 효행(孝行). 이것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존재해 왔으며 인륜의 중요한 덕목이다. 19세기 이전의 중국은 천재(天災)와 끊임없는 난세(亂世)의 폭정(暴政)으로부터 자신들의 생활을 지키기 위해 혈족(血族)이 동거하여 가부장제(家父長制) 가족을 구성하여야 했고, 이런 구성원들이 부모를 봉양하고, 공경하며, 복종하고, 조상에게 봉제사(奉祭祀)하는 일이 의무화되면서 효사상이 사회규범으로 굳어졌다. 이것은 중국사회를 유지하는 근본 규범으로 독특한 내용과 특성을 갖는다. 공자(孔子)는 부모를 공경하고, 부모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 드리며, 예로써 제사를 받들 것을 설하였고, 그 구체적인 실천방법을 제시하여 이것을 확고히 정착시켰다. 이 사상은 맹자(孟子)에서 자식의 부모에 대한 의무가 더욱 강조되었고, 한대(漢代)에 이르러 《효경(孝經)》에서 도덕의 근원, 우주의 원리로서 형이상화(形而上化)되고 절대복종이 명문화되었다. 《효경》의 또 하나의 특징은 천자(天子)가 되어야 비로소 지극한 효를 할 수 있고, 효를 실천함으로써 천하를 다스릴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이런 자연의 이법(理法)에 따라야 한다는 전개로 국가가 효 윤리를 권장 ·강요하여 중국사회의 중요한 도덕규범으로 정착시켜간 것이다. 한국에서의 효사상은 이미 고구려의 태학(太學)이나 신라의 국학(國學)에서 교육하였고, 신라 《삼국사기(三國史記)》에 효녀 지은(知恩), 향덕(向德), 설씨녀(薛氏女) 등을 볼 수 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논어(論語)》 《효경》을 기초로 한 유교적(儒敎的) 효사상이 지식인들의 기본교양이 되었다. 고려 말기 권부(權溥)의 《효행록(孝行錄)》, 조선시대의 《효행록》, 세종 13년의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의 <효자도(孝子圖)>는 효행담을 집대성한 것이다. 효사상은 시대와 이념에 따라 그 내용이 다소 변화되기도 하나 부모를 공경하고, 그 뜻을 받들어 섬기며 봉양한다는 본질에서는 차이가 없으며, 인륜의 가장 으뜸되는 덕목이다. 충 주 여 자 상 업 고 등 학 교 |
이전글 | 컴퓨터 중독 자가진단 |
---|---|
다음글 | 마음에 꽃을 심자.(1학년 학생의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