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신초등학교 로고이미지

보건실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인플루엔자
작성자 박지현 등록일 18.11.27 조회수 158

인플루엔자

병원체

병원체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B형이다. 흔히 독감으로 알려져 있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호흡기 질환이다.

감염경로

환자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분비되는 호흡기 비말을 통해 전파된다.

잠복기

감염기간

잠복기: 1~3

유행 시기: 매년 10월경~다음 해 4월까지

임상증상

및 경과

전신 증상: 갑작스러운 발열(38~41이상), 두통, 근육통, 전신 쇠약감

호흡기 증상: 기침, 객담, 코 막힘, 인후통

소화기 증상: 어린이의 경우 오심, 구토, 설사 등의 소화기 증상이 동반

합병증: 폐렴, 급성 부비동염, 중이염, 만성병 환자는 기저 질환(갖고 있는 병) 악화, 사망

환자관리

대증 요법: 휴식과 안정을 취하고 수분 섭취, 발열, 두통의 증상이 있을 때는 해열

진통제를 복용한다.

약물 요법: 의사의 처방에 의한 항바이러스, 항생제 등의 약물 요법을 한다.

등교 중지: 인플루엔자는 열이 떨어지고 증상이 소실될 때까지 등교 중지를 한다(전염

가능 기간 5~10). 의사 소견서를 제출하면 출석 처리된다.

접촉자

관리

환자와 접촉 후 5~10일 감시를 통하여 발병 여부를 확인한다. 증상 발생 시 즉시 검체

(호흡기 채취 물이나 혈액)를 채취하고 격리하여 치료를 받는다.

고위험 접촉자의 경우 발병 초기에 항바이러스제를 투여 받을 수 있으므로 병원 진료를

받는다.

예방

예방접종을 한다(예방접종 시기는 10~12).

* 예방접종 권장 대상자(65세 이상 노인, 만성 질환자, 생후 6~59개월 소아, 임신부, 의료진, 50~64

인구 등)

손 씻기를 생활화한다.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경우 휴지, 손수건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한다. 휴지가 없을 때

에는 옷소매로 가리고 한다.

발열과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 마스크를 착용한다.

인플루엔자가 유행할 때에는 가급적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를 피한다.

인플루엔자 의심 증상이 있는 경우 즉시 의사의 진료를 받는다.

이전글 등교중지자 자가 격리 준수사항
다음글 개인위생 수칙 - 올바른 손씻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