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신초등학교 로고이미지

보건실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수두
작성자 박지현 등록일 16.06.21 조회수 255

병원체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Varicella Zoster Virus)
전파경
주로 감염자의 호흡기분비물(비말)로 사람간 전파가 이루어짐
증상 및 임상경과
급성미열로 시작되고, 전신적으로 발진성 수포가 발생하는 질환(잠복기 14∼16일)

발진은 소양감을 동반하며, 반점에서 구진이나 수포로 급속하게 발전됨. 보통 머리에서 처음으로 나타나 몸통, 사지로 퍼져나감 

수두는 일반적으로 경증이며 자가 치유되는 질환이나, 소아에서 2차 피부감염으로 인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고,  바이러스성 폐렴 또는 소뇌성 운동마비가 흔하나 대부분 예후는 좋음. 뇌염은 1만명당 1.8명으로 드묾. 이외 드문 합병증으로 라이증후군, 무균성수막염, 급성횡단성척수염 등이 발생 할 수 있음


치료
피부병소의 세균감염을 줄이기 위해 목욕을 자주 시키며, 항히스타민제 투여 등 대증요법 이용
유행관리
수두는 피부병변과의 접촉 또는 말하거나 재채기할 때 나오는 호흡기분비물을 통해 감염되므로, 집단생활을 하는 학교 등에서 발생 증가가 우려됨

 수두는 연중 4∼6월, 11∼1월에 많이 발생하며, 3∼6세 연령대에서 발생률이 높음
환자관리
전파방지를 위해 환자는 모든 수포에 딱지가 앉을 때까지 격리가 필요함
예방
수두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위생수칙을 준수하고, 수두를 앓은 적이 없거나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소아는 예방접종을 받아야 함
 * 접종기준:  생후 12∼15개월 1회 예방접종

이전글 유행성 이하선염(볼거리)
다음글 유행성눈병 예방수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