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화재 예방 및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 안내 가정통신문 |
|||||
---|---|---|---|---|---|
작성자 | 신상민 | 등록일 | 25.07.11 | 조회수 | 28 |
첨부파일 |
|
||||
학부모님 안녕하십니까? 최근 잇따른 학생 화재 및 물놀이 사망사고로 여름 방학 중 화재와 물놀이(수상안전사고)사고 예방과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가정에서도 지속적인 관심과 지도를 부탁드립니다. 물놀이 사고 예방 요령 1. 계곡에 들어가야 한다면(입수 전) □ 미리 수온을 체크하고 천천히 들어가며, 다이빙은 절대 하지 않습니다. ○ 얕고 불규칙한 수심에 의해 물속 바위에 부딪히거나 낮은 수온으로 인한 심장마비 등 사고위험이 큽니다. ○ 수심이 깊은 장소라 하더라도 물속에 눈에 보이지 않는 소용돌이(와류)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다이빙은 하지 않도록 합니다. □ 물의 깊이와 물살을 확인합니다. ○ 관리자가 설치한 ‘수심제한선’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 계곡물은 육안으로 그 깊이를 가늠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 위험하므로 들어갈 때 주의가 필요합니다. ○ 물이 흐려서 깊이를 알 수 없거나, 폭포처럼 물거품이 보일 정도로 빠르게 흐르는 경우에는 물에 들어가지 않도록 합니다. ○ 긴 나뭇가지를 활용하거나, 물 위로 떠다니는 나뭇잎이나 풀들을 관찰하여 수심이나 유속확인에 참고합니다. □ 기상조건과 함께 주변이 안전한지 확인합니다. ○ 일기예보를 미리 확인하고(비가 올 경우 들어가지 않도록 함), 휴대폰으로 통신이 가능한 장소인지 확인합니다. ○ 주변에 지자체나 소방서에서 설치한 구명튜브와 같은 안전 장비가 있는지, 어디에 있는지 미리 확인합니다. ○ 비가 오면 계곡물이 순식간에 불어나 사고위험이 높으므로 비가 올 경우 즉시 물에서 나와 안전한 곳으로 잠시 피하고 기상상황을 지켜봅니다. ○ 비가 내린 뒤라면 낙석과 산사태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물놀이와 야영을 자제합니다. □ 미끄러짐 사고와 “머리”를 다치는 것을 유의해야 합니다. ○ 계곡에서는 넘어지면서 자신의 의지와 관계없이 깊은 곳에 빠지는 경우가 많아 아쿠아슈즈 착용 등을 통해 미끄러짐 사고를 방지하도록 합니다. ○ 바위에서 미끄러지거나 급류에 휩쓸릴 경우 뇌진탕으로 인한 사고가 많으므로 “머리”를 다치지 않도록 항상 조심합니다. 2. 계곡에 빠졌을 때는(익수 시) □ 당황하지 않고 가슴과 허리를 펴고 시선은 하늘을 응시하며 수면에 누워 물에 뜨는 데 집중합니다. ○ 당황하여 몸부림 칠 경우 오히려 가라앉거나 지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침착하게 체력을 아끼며 구조를 기다리도록 합니다. □ 몸이 떠내려갈 때는 흐르는 물살 반대방향(상류방향)이 아닌, 물의 흐름대로 떠내려가면서 가까운 물가(육지)를 향해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합니다. ○ 가능한, 다리를 떠내려가는 방향(하류)으로 하여 바위·나무 등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고 충격에 대비합니다. □ 물길이 세지 않은 깊은 물웅덩이(沼)와 같은 곳에 빠졌을 때 ○ 당황하지 않고 최대한 양 팔과 다리를 벌려 누워 하늘을 보는 자세(누워뜨기 자세)를 취해 물에 가라앉지 않도록 합니다. ○ 잠수에 자신이 있다면, 수심을 확인한 뒤 그대로 잠수하여 바닥을 차고(보빙동작) 수면 위로 떠올라 호흡을 유지하고, 누워서 떠 있거나 발차기 또는 보빙동작을 반복하여 얕은 쪽으로 나올 수 있습니다. |
다음글 | 2025. 개인형 이동장치(PM) 및 교통안정 관련 안전사고 예방 안내 가정통신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