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안전점검의 날 안내 |
|||||||||||||||||||||||||||||||||||||||||||||||||
---|---|---|---|---|---|---|---|---|---|---|---|---|---|---|---|---|---|---|---|---|---|---|---|---|---|---|---|---|---|---|---|---|---|---|---|---|---|---|---|---|---|---|---|---|---|---|---|---|---|
작성자 | 오영애 | 등록일 | 14.10.13 | 조회수 | 127 | ||||||||||||||||||||||||||||||||||||||||||||
가을철 안전점검 사항
□ 예방수칙 ○ 벌을 자극할 수 있는 강한 냄새를 유발하는 향수, 화장품, 헤어스프레이 등의 사용을 자제한다 ○ 노란색·흰색 등 밝은 계통 및 보푸라기나 털이 많은 재질의 의복은 피하고 가능한 맨살이 드러나지 않도록 한다 ○ 벌초를 시작하기 전에 벌초할 곳을 미리 둘러보며 지형을 익히고, 지팡이나 긴 막대 등을 사용해 벌집이 있는지 사전에 확인한다 ○ 벌집을 발견한 경우 무리하게 작업을 강행하지 말고 보호 장구를 착용한 후 스프레이 살충제 등을 사용하여 벌집을 제거하거나, 불가능할 경우 119 에 신고한다 ○ 부주의로 벌집을 건드려서 벌이 주위에 있을 때에는 벌을 자극하지 않도록 손이나 손수건 등을 휘두르지 말고, 제자리에서 움직이지 않고 가능한 한 낮은 자세를 취하거나 엎드린다 ○ 벌독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반드시 해독제와 지혈대 등을 준비하고 사용법을 미리 익혀둔다 ○ 간혹 체질에 따라 쇼크가 일어날 수 있는 사람은 등산 및 벌초 등 야외활동을 자제한다 ○ 야외활동 시 소매 긴 옷과 장화, 장갑 등 보호 장구를 착용한다
□ 응급조치요령 ○ 벌에 쏘였을 때 벌침은 핀셋보다 신용카드 등으로 피부를 밀어 뽑아낸 후 얼음찜질을 하고 통증과 부기를 가라앉히기 위해 진통소염제나 스테로이드 연고를 바른 후 그늘에서 안정을 취한다 ○ 체질에 따라 과민성 반응에 의해 쇼크로 호흡곤란이 발생할 경우 119에 신고한 후 허리끈이나 꽉 조이는 옷 등을 풀어서 그늘진 곳으로 옮겨 인공호흡을 한다
□ 예방수칙 ○ 벌초시에는 두꺼운 등산화를 반드시 착용한다 ○ 잡초가 많아 길이 잘 보이지 않을 경우 지팡이나 긴 장대로 미리 헤쳐 안전유무를 확인한다 □ 응급조치요령 ○ 뱀에 물린 사람은 눕혀 안정시킨 뒤 움직이지 않게 한다 ○ 뱀에 물린 부위를 입으로 빨아내는 방법은 입에 상처가 있거나 충치가 있는 경우 매우 위험하다 ○ 독사는 머리가 삼각형이고 목이 가늘며, 물리면 두 개의 독니 자국이 나타난다. ○ 뱀에 물린 후 가능한 경우, 휴대전화기 또는 카메라로 뱀을 찍어 의사에게 보이면 정확한 해독제를 신속히 조치할 수 있다.
□ 예방수칙 ○ 예초기 사용시 칼날이 돌에 부딪히지 않도록 주의하고, 목이 긴 장화나 장갑, 보호안경 등 안전장구를 착용한다 ○ 예초날 안전장치(보호덮개)를 반드시 부착한다 ○ 예초기 각 부분의 볼트와 너트, 칼날의 조임 등 부착상태를 반드시 점검한다 ○ 평평한 곳은 3도날이나 기타 금속날을 사용해도 좋지만 초보자는 안전한 나이론 커터를 사용하며, 봉분이나 비석주변에는 나일론커터를 사용한다. ○ 작업 중에는 반경 15m 이내에 사람을 접근시키지 않도록 한다 ○ 예초기 작업을 할 때는 여유를 가지고 하며, 피로할 때는 작업을 중지한다 ○ 작업을 중단하거나 이동할 때는 엔진을 정지시킨다 ○ 작업 중 엔진의 배기가스를 마시지 않도록 주의한다 ○ 작업장소 주위에 벌집, 뱀 등이 있는지 확인 하여야 한다 ○ 예초기 칼날은 인증을 받은 규격 제품으로 사용한다 □ 응급조치요령 ○ 작업 중 칼날에 부딪힌 작은 돌덩이 등의 이물질이 눈에 들어갔을 때는 고개를 숙이고 눈을 깜박거리며 눈물이 나도록해 이물질이 자연적으로 빠져나오게 한다 ※ 손으로 눈을 비벼 이물질을 강제로 빼내려 하면 오히려 더 깊이 들어가 상처가 악화될 수 있음 ○ 예초기 칼날에 다쳤을 경우 깨끗한 물로 상처를 씻고 소독약을 바른 후 깨끗한 수건이나 천으로 감싸고 병원으로 가서 치료 한다 ○ 예초기 날에 의해 손가락 등이 절단되었을 때는 지혈을 한 뒤, 절단된 부위를 생리식염수나 물로 씻은 후 멸균거즈로 싸서 비닐봉지나 플라스틱 용기로 포장한 후 주위에 물을 채우고 얼음을 넣어 신속하게 병원으로 간다
벌쏘임·뱀물림 피해통계 분석
□ 최근 3년간(‘11~’13년)간 벌쏘임․뱀물림으로 인해 총 40,861명, 연평균 13,620명 인명피해 발생
○ 최근 3년(‘11~’13년)간 벌쏘임․뱀물림에 의한 진료 환자는 8~9월에 전체의 53.7%인 7,628명 발생 ○ 최근 3년(‘11~’13년)간 벌쏘임・뱀물림에 의한 진료 환자를 시・도별로 분석하면, 전남이 1,778명으로 가장 많았고, 강원 1,718명, 경기1,653명, 충남 1,627명 순으로 나타남 ○ 또한, 벌쏘임・뱀물림 피해는 남녀 모두 50~59세가 가장 많았고, 남성이 여성보다 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참고로 최근 3년(‘11~’13년)간 벌퇴치‧벌집제거 등 전국 소방서 출동 현황은 총 285,816건(‘11년 69,635건, ’12년 129,500건, ‘13년 86,681건)으로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 ○ 특히, 올해는 고온 다습한 기후의 지속과 마른장마와 같은 기상여건과 개발제한구역 설정 등에 따른 도심공원의 증가로 인해 말벌의 활동여건이 쉬워짐에 따라 벌집이 많아지고 있음
- 7월 이후 벌퇴치‧벌집제거와 관련한 119신고건수가 64,718건, 부상에 따른 병원 이송이 1,891건에 달하는 등 상반기 1만여건과 비교했을 때 일평균 출동 건수가 2.9배를 넘은 것으로 집계 * 8.24까지 75천건 처리, 7.11. 이후 64천건 처리, 사망4, 병원이송 1,891명
|
이전글 | 11월 학사일정 |
---|---|
다음글 | 학사일정 안내(10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