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문화 책임규약(교육 3주체 학교생활 약속) |
|||||
---|---|---|---|---|---|
작성자 | *** | 등록일 | 25.04.07 | 조회수 | 24 |
첨부파일 |
|
||||
모두의 학교를 위한 교육공동체 구성원의 약속
1) 학생 약속 Ⅰ. 학교에서 언제나 이렇게 행동해요. 1. 학교에서 만나는 모든 사람들에게 바른 말, 고운 말을 사용합니다. 2. 다른 사람의 신체를 함부로 만지지 않습니다. 3. 다른 사람의 물건은 허락을 받아야만 만질 수 있습니다. 4. 등교시 휴대전화를 끄고 가방에 넣습니다. 5. 수업을 마친 후 교내에서의 휴대전화 사용은 전화통화와 문자메시지만 가능합니다. 6. 장난감, 간식 등은 학교에 가져오지 않습니다. - 가져온 장난감이나 간식은 선생님이 가지고 있다가 수업을 모두 마친 후에 돌려줍니다. - 잃어버리거나 부서지거나 친구와 싸우게 되어도 물건을 찾아주거나 새 걸 사주거나 선생님이 도와주지 않습니다. - 위험한 물건의 경우, 학교에 5일 보관하고 선생님이 보호자에게 직접 드립니다. 7. 선생님의 여러 차례 지도에도 불구하고 학생의 행동 변화가 뚜렷하지 않은 경우, 학교생활교육위원회에서 보호자 방문 상담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Ⅱ. 선생님의 수업권 및 친구들의 학습권을 존중해요. 1. 선생님의 주의 및 경고 2. 진정하고 집중하기 1) 교실 내 다른 좌석으로 이동하거나 자리에서 일어나 수업 듣기 2) 교실 내 특정 공간에서 일정 시간 서 있다가 돌아오기 3) 교실 밖 선생님이 정해주는 장소에서 진정하기 3. 선생님과 따로 상담하기 4. (수업 중·쉬는 시간·수업 후 등) 선생님이 내주시는 과제하기 5. 선생님이 지정해주시는 장소 청소하기 6. 부서지거나 깨진 물건 새로 사오기 7. 보호자 학교 방문
Ⅲ. 계단·복도에서 뛰거나 소리지르지 않아요. Ⅳ. 도서관 사용 예절을 지켜요. - 전교생 다모임에서 도서관 사용 규칙을 정하는 대로 추가 예정 Ⅴ. 식생활관 질서는 이렇게 지켜요. 1. 줄 설 때 질서 잘 지키기 2. 조용히 바른 자세로 앉아 먹기 3. 식판을 가지고 이동하다가 또는 식사 하다가 음식을 쏟았을 때는 담임선생님이나 영양선생님께 도움 요청하기 4. 친구들끼리 음식을 주고받지 않기 (안 먹을 음식은 잔반통에 버리기) 5. 식사가 완전히 끝나고 식생활관 밖으로 나가기 (입 안에 음식이 있는 채로, 또는 남은 음식을 가지고 식생활관 밖으로 나가지 않기) 6. 정확한 호칭 사용하기 (영양 선생님, 조리사님) 7. 학생 혼자 교실에 남아있지 않기 8. 식생활관에서 천천히 걸어 다니기 9. 음수대에 입을 대거나 손 씻지 않기 10. 물컵은 음수대에서만 사용하기 2) 교원 약속 가.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에 있어 학생의 배움을 우선 고려한다. 나. 의사결정의 과정은 민주적이어야 하고, 결정된 사항은 공동체 발전을 위해 꼭 수용하며 실천한다. 다. 학생 생활교육 약속은 교사가 모범을 보인다. 라. 수업 시간 및 학교 행사 시에는 학생들에게 경어를 사용한다. 마.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고 사과한다. 바. 교직원 협의회 및 연수, 교직원 학습공동체 등의 학교 행사에 의무적으로 참여한다, 사. 교직원간 업무처리에 적극적으로 협조한다. 아. 아이들과 함께 있는 자리, 공식적인 자리에서 교직원끼리 공식적인 호칭과 경어를 쓴다. 자. 나의 최선과 동료의 최선이 다를지라도 각자 최선을 다하고 있음을 믿고 지지한다. 3) 학부모 약속 가. 하루에 한 번 이상 사랑한다고 말하고 꼭 안아주겠습니다. 나. 아이 앞에서 누구에게라도 감정적이거나 모욕적인 말과 행동을 하지 않겠습니다. 다. 아이가 자신의 어려움을 언제든지 편히 말할 수 있도록 평소 자녀의 말을 잘 듣겠습니다. 라. 자녀가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도록 하여 자녀의 신체적, 사회적 발달을 돕겠습니다. 마. 자녀가 사회적 예의와 공중도덕을 알고 지킬 수 있도록 가정에서도 교육하겠습니다. |
다음글 | 2025. 학업중단 숙려제 운영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