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 내 운동기구로 인한 어린이 안전사고 다발 |
|||||
---|---|---|---|---|---|
작성자 | 박효진 | 등록일 | 19.05.04 | 조회수 | 84 |
가정 내 운동기구로 인한 어린이 안전사고 다발- 실내 사이클 · 러닝머신 관련 사고 많아 - 최근 바쁜 일상과 미세먼지 등에 대한 우려 등으로 가정 내 운동기구를 두고 간편하게 운동할 수 있는 홈트레이닝*이 인기를 끌고 있음. 그러나 집 안에 기구를 두고 지도자 없이 스스로 운동법을 습득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됨.가정 내 운동기구에 의한 만 1~3세 영유아 안전사고 다발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16년~2018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홈트레이닝 관련 위해사례는 총 207건으로, 매년 60건 이상 지속적으로 접수되고 있음. 연령별로는 ‘10세 미만’이 124건으로 전체의 61.4%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이 가운데 특히 위험 환경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신체 근육 발달이 완전하지 못한 만 1~3세 영유아의 사고 비율(50.0%, 62건)이 높은 것으로 분석됨. 10세 미만 어린이 사고의 주요 증상은 ‘열상(찢어짐)’ 37.9%(47건), ‘타박상’ 25.0%(31건), ‘골절’ 15.3%(19건) 순이었으며, 실내 사이클과 러닝머신 틈에 끼는 사례, 아령에 짓눌리거나 짐볼에서 균형을 잡지 못하고 넘어지는 사례 등이 있었음. 실내사이클 · 러닝머신 · 아령 · 짐볼로 인한 사고가 대부분품목별 현황으로는 ‘실내 사이클’로 인한 사고가 29.0%(60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러닝머신’ 25.1%(52건), ‘아령’ 22.2%(46건), ‘짐볼’ 14.0%(29건) 순임. 품목별 위해원인을 분석한 결과, ‘실내 사이클’은 기구에서 추락하는 사례(28.3%)가 많았고, ‘러닝머신’과 ‘짐볼’은 넘어짐(각 42.3%, 41.4%), ‘아령’은 충격(65.2%)에 의한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함. 가정 내 운동기구 보관에 각별한 주의 필요▶ 운동기구 구입 즉시 부품에 헐겁거나 날카로운 부분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 어린이가 접근하지 않는 장소에서 기구를 이용·보관합니다. ▶ 운동 시에는 주변을 깨끗하게 정리하고 본인에게 맞는 운동을 합니다. ▶ 운동 전후에는 기구의 전원상태를 확인합니다. ▶ 기구의 하자가 발견되면 즉시 제조·판매업체에 연락하고 소비자 위해를 입거나 예상되는 경우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www.ciss.go.kr)에 신고합니다.
2019-02-11
|
이전글 | 2019. 소비자교육 웹진 5월호 |
---|---|
다음글 | 편리한 전동킥보드, 안전하게 이용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