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자료는 교육용 로봇을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교과 교육에 직접 적용해봄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로봇활용교육의 실제적인 방안을 탐색해보기 위한 목적으로 지식경제부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자료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총론과 각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총론 구성: 교구로봇의 교육적 특성과 교구로봇활용수업의 개념과 절차에 대해 제시하였습니다. 교구로봇의 교육적 특성에서는 교구로봇의 개념, 미래 교육으로서 교구로봇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교구로봇 활용의 교수·학습 기대 효과를 소개합니다. 교구로봇활용수업의 개념과 절차에서는 교구로봇활용수업의 개념과 절차를 소개합니다. 또한 교구로봇 활용 수업의 개요 및 학년·교과별 수업개요를 제시하여 교구로봇 활용 수업의 실제를 기술하고 있습니다. 각론 구성: 교구로봇을 정규교과 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과정안을 교과별, 학년별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 교과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구로봇의 특징 및 활용 방법, 유의점과 교구로봇의 활용 의도, 교구로봇 활용의 의의 및 평가방안을 소개하고, 교수·학습 활동의 실제를 제시하여 구체적인 수업의 모습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교과별로 제시되는 교수-학습 과정안은 4학년에서 6학년까지를 대상으로 총 9개 과목(과학,수학, 국어, 미술, 사회, 실과, 영어, 재량, 체육)이 개발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