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신초등학교 로고이미지

가정통신문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4월 4일, 아이들과 함께 개기월식 관측해 보세요.
작성자 남혜경 등록일 15.03.30 조회수 226

출처: 한국천문연구원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한인우)은 4월 4일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지는 개기월식 천문현상이 일어난다고 예보했다. 이번 월식은 4월 4일 19시 15분 달의 일부분이 가려지는 부분월식이 시작되며 이후의 모든 과정을 관측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개기월식은 지난 2014년 10월에 있었으며, 앞으로 2018년 1월에 이와 같은 개기월식을 볼 수 있다.

☐ 4월 4일 월식은 18시 00분 달이 지구의 반그림자에 들어가 평소보다 어둡게 보이는 반영식부터 시작되지만, 이때는 달이 뜨기 전이라 우리나라에서는 관측할 수 없다.

☐ 이 날 우리나라에서 달이 뜨는 시각은 18시 48분이며, 19시 15분 달이 지구의 본그림자에 들어가 일부가 가려지는 부분월식부터 관측할 수 있다. 이후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들어가는 개기월식은 20시 54분에 시작되며 21시 6분까지 지속된다. 이후 22시 45분까지 부분월식이 진행되며 4월 5일 00시 01분 반영식이 종료되면 월식의 전 과정이 종료된다.

☐ 개기월식 중인 20시 54분에서 21시 6분까지 약 12분 동안은 지구 대기를 통과한 태양 빛 때문에 평소보다 어둡고 붉은 달을 볼 수 있다.


[그림 1] 개기월식 개념도

진행상황시각(KST)
반영식의 시작18시 00분
부분식의 시작19시 15분
개기식의 시작20시 54분
개기식의 최대21시 00분
개기식의 종료21시 06분
부분식의 종료22시 45분
반영식의 종료24시 01분
일몰 : 18시 57분 월출 : 18시 48분

[표 1] 4월 4일 개기월식 진행시각

☐ 한국천문연구원은 식목일 하루 전인 4월 4일 일어나는 이번 천문현상을 국민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게 국립과천과학관,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전국천문우주과학관협회 등이 진행하는 전국 개기월식 관측회를 안내 및 지원한다.

☐ 전국 개기월식 시민 관측 장소는 한국천문연구원의 홈페이지(kasi.re.kr) 및 페이스북 페이지, 트위터(twitter.com/kasi_news)를 통해서 3월 25일부터 확인 가능하다.

☐ 또한,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홈페이지, 트위터, 페이스북을 통해 이번 월식현상이 진행되는 각 과정을 시간대 별로 업데이트 할 예정이다.


[그림 2] 월식의 원리



[ 참고자료 ]

▌ 개기월식은 어떤 원리로 일어나게 될까? ▐

월식은 태양 – 지구 - 달 순서로 위치하여 지구의 그림자에 달이 가려지는 천문현상이다. 보름달일 때에 일어나지만, 달과 지구의 궤도가 약 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모든 보름달에 월식이 일어나지는 않는다. 지구의 본 그림자에 달의 일부가 들어갈 때를 부분월식이라고 하며, 달의 전부가 들어갈 때를 개기월식이라고 한다.

■   개기월식에 달에서는 어떤 현상이?

지구에서 개기월식이 일어난다면 달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날까? 달, 지구, 태양 순으로 일직선이 되므로 달에서는 지구 뒤로 태양이 지나가는 일식과 같은 현상을 볼 수 있다. 달에서는 지구가 태양보다 크게 보이기 때문에 태양이 지구 뒤를 지나가는 모습이 될 것이다. 커다란 지구 뒤로 작은 태양이 지나가게 되므로 지구에서 보는 일식 보다 더 오래 진행될 것이다.


[그림 3] 개기월식 때 달에서 본 지구 상상도


■ 개기월식의 과학 ■

☐ 개기월식 때는 왜 달이 붉게 보일까?
개기월식이 일어날 때 달이 붉게 보이는 것은 지구 대기를 지난 빛이 굴절되며 달에 도달하는데, 지구 대기를 지나면서 산란이 일어나 붉은 빛이 달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월식이 일어날 때마다 달의 붉은색이 조금씩 다르게 보이는데, 이를 통해 지구 대기의 상태를 확인 할 수도 있다.

☐ 지구는 둥글다는 것은 어떻게 알았을까?
월식은 달이 지구 그림자에 들어가는 현상이다. 고대 그리스 시대의 아리스토텔레스는 월식을 관측하다가 달에 드리운 그림자가 지구의 그림자이며, 그림자를 통해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알았다고 한다.




[그림 4] 개기월식 관측 가능 지역


[그림 5] 시간별 개기월식 진행도


[그림 6] 지구 그림자에 들어가는 달

이전글 대기질 정보 알림 SMS서비스 가입 안내
다음글 2015. 학부모대상 오카리나 강좌 희망 조사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