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중학교 로고이미지

공지사항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학교폭력예방교육 자료(학부모님 대상)
작성자 김수현 등록일 22.03.30 조회수 257

안녕하십니까?

코로나-19 지속에 따른 학부모 대상 학교폭력예방교육을 비대면으로 실시하고자 하오니 학부모님께서는 아래 내용을 잘 숙지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1. 학교폭력이란?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

- 학교 내외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발생한 상해, 폭행, 감금, 협박, 약취·유인, 명예훼손·모욕, 공갈, 강 요, 강제적인 심부름 및 성폭력, 따돌림, 사이버 따돌림,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음란·폭력 정보 등에 의하여 신체·정신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

 

    2. 학교폭력의 유형

    가. 신체폭행때리기, 발 걸기, 밀기, 장난을 빙자한 가혹행위, 감금

. 금품갈취돈이나 물건을 빼앗기, 망가뜨리기, 억지로 빌리기

. 언어폭력욕하기, 무서운 말로 겁주기, 위협, 협박

. 강요억지로 심부름시키기, 억지로 답안지 보여 달라고 하기, 놀리기, 귀찮게 하기

. 따돌림소외시키기(말 안 걸기, 같이 안 놀기, 같이 밥 안 먹기), 모함하기, 경멸하기

. 사이버폭력인터넷, 핸드폰 이용 욕설, 소문내기, ID 훔치기, 단톡방에 초대해서 비하하기

. 성폭력,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음란, 폭력 행위 등

 

3. 우리 아이 갈등 관리 이렇게 도와주세요!!

 

. 우리 아이가 또래 친구와의 관계에서 갈등으로 힘들어 할 때, 함께 고민해주세요.

친구와 왜 사이가 멀어지게 되었을까?”, “어떻게 해야 이 상황을 해결하고 친구와 예전처럼 친해질 수 있을까?” 와 같이 갈등상황이 발생하면 원인에 대해 충분히 고민하고,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의지를 갖는 것이 필요합니다.

. 우리 아이가 겪고 있는 갈등 상황에 대해 대화할 때 상대방을 비난하거나 원인을 상대방에게 돌리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때문에 상황이 이렇게 안 좋아 진거야.”, “○○가 나에게 이러지 않았다면 상황이 이렇게 악화되지 않았을 거야!” 상대방을 비난하고 원인을 돌리는 태도는 상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하여 갈등 상황을 더욱 악화시킵니다.

. 갈등 상황으로 인한 우리 아이의 현재 감정을 탐색하고 상대방에게 효과적으로 감정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이야기 나 눠주세요.

갈등상황 해결을 위해서는 현재 자신의 마음상태를 파악하고 네가 내가 아닌 다른 친구와 친하게 지내는걸 보니 서운한 마음이 들었어. 지금은 너와 멀어지게 돼서 속상해.” 와 같이 자신의 마음을 상대방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고민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 갈등 상황에서의 우리 아이의 감정을 상대방에게 표현하며 앞으로 관계를 회복하고자 하는 의지를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너와 사이가 멀어지게 되니 속상해. 다시 예전처럼 친하게 지내고 싶어!” 용기 내어 먼저 상대방에게 갈등을 해결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의지를 보인다면 상대방의 마음도 열리게 할 수 있습니다.

4. 사이버폭력에 대해 알아보기

  

. 사이버폭력이란?

        사이버 폭력은 사이버 범죄의 다른 말로, 인터넷과 관련된 기술상에서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입히는 모든 행위를 일컫는다. 고의적으로, 반복적이거나, 또는 적대적인 태도로 피해를 입힌다. 인터넷상에서 특정인에 대하여 모욕적인 언사나 욕설 등을 행하는 '사이버모욕', 특정인에 대한 허위의 글이나 명예에 관한 사실을 인터넷에 게시하여 불특정 다수인에게 공개하는 '사이버명예훼손', 인터넷상에서 음란한 대화를 강요하거나 성적 수치심을 주는 대화로 상대방에게 정신적 피해를 주는 '사이버성희롱',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특정인에게 원하지 않는 접근을 지속적으로 시도하거나 성적 괴롭힘을 행사하는 '사이버스토킹', 몰래카메라 촬영물 등 음란물을 유통시키는 '사이버음란물'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 부모의 사전예방 수칙

1) 자녀에게 사이버상의 상대방을 현실에서처럼 존중하도록 알려준다.

2) 평소에 대화를 통해 자녀들이 바른 언어습관을 기르도록 한다.

3) 자녀와 사이버폭력(사이버따돌림 등)이나 다른 온라인 이슈에 대해 규칙적으로 대화한다.

4) 자녀가 사이버상에서 부모 주민번호를 사용하지 않도록(혹은 알지 못하도록) 관리한다.

5) 컴퓨터는 거실에 두어 가족들이 함께 사용하고 사용시간을 정해놓는다.

6) 자녀의 온라인 활동에 관심을 갖고 무엇을 하는 지를 주의 깊게 살핀다.

7) 컴퓨터와 스마트폰에 음란폭력물 차단 프로그램과 언어폭력 경고 메시지 수신 서비스를 설치한다.

*음란폭력물 차단 프로그램 : 컴퓨터 greeninet.or.kr / 스마트폰 스마트보안관.kr

*언어폭력 경고메시지 수신서비스 : 모바일 가디언(http://www.mguardian.co.kr)

8) 컴퓨터와 스마트폰 사용법을 익히고, 자녀들의 무분별한 사용을 제한한다.

9) 사이버 폭력 신고 절차와 피해 조력 기관을 알아 둔다.

10) 피해를 당하거나 피해를 알게 된 경우 자녀에게 직접 해결하려 들지 말고 주변 어른들과 상의할 것 을 강조한다.

 

이전글 2022학년도 학생 봉사활동 운영 계획
다음글 생명존중 및 자살예방 교육 가정통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