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계기교육자료 |
||||||
---|---|---|---|---|---|---|
작성자 | 노미희 | 등록일 | 12.09.23 | 조회수 | 253 | |
9월 계기 교육
1. 추석의 뜻 음력 8월 15일은 추석으로 설날과 함께 큰 명절 중의 하나이다. 추석의 원말은 『가위』로서 한자로는 가배(嘉俳)라고 적고, ‘한가위’라 고도 한다. 추석이란 ‘달 밝은 가을 밤’이라는 뜻에서 생긴 이름이라 한 다. 2. 유 래 신라 제 3대 유리왕 9년(서기 32년)에 나라 안 6부에 부녀자들을 두편으로 갈라서 두 왕녀(王女)로 하여금 각각 한 편씩 맡게 하고 7월부터 한 달 동안 길쌈 을 한 성적을 거두어 8월 보름날 진편에서 음식을 내어 잔치를 차리고 이 날 종일 춤과 노래와 유희로 즐겼는데, 이때 부르던 노래를 “희소곡”이라 한다. 그 뜻은 ‘더하지도 말고 덜하지도 말고 언제든지 오늘만 같이 살자’라는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이날은 많은 젊은 색시로부터 늙은 노파, 왕녀, 귀족, 일반 궁녀들이 온갖 단장을 갖추고 재미있게 하루를 보내니 백만의 경주에는 신라 만세의 소리가 천지를 진동시킬 듯 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 풍속을 이어받은 것이 오늘의 추석이다. 3. 다례와 성묘 추석엔 신곡으로 빚은 술과 떡, 새로 난 과일로 조상의 분묘 앞에서 다례를 지내고 분묘에 무성하게 자란 풀을 깨끗이 깍는 것(벌초)이 후손된 도리이다. 성묘는 각자의 편의대로 하되 배례방법은 재배 또는 묵념으로 하며 제수는 마련하지 않는다. 4. 오 락 0. 개울 건너 동네끼리의 ‘줄다리기’ 와 ‘석전(石戰)’이 있다. 0. 그 밖에 ‘강강수월래’ , ‘그네’ , ‘널뛰기’ 등도 있다. 5. 민속놀이 - 기호지방(서울,경기,충청도)에서 ‘거북놀이’ 해서지방(황해도)에는 ‘소먹이 놀이’ |
이전글 | 10월 1일 국군의 날 계기교육자료 |
---|---|
다음글 | 9월 인성교육(읽기)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