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여자중학교 로고이미지

인성교육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6.25전쟁 기념일
작성자 노미희 등록일 12.05.21 조회수 269

6. 25 전쟁 기념일

 

1950. 6. 25 새벽 4시 북한 공산군 남침 개시

 

- 6. 27 UN 안전보장이사회 북한군 38선까지 철수 요구 및 철퇴 결의

미국 트루먼 대통령 미 육․해․공군에 한국에서의 군사 행동 명령

- 9. 15 맥아더 유엔군 총사령관의 인천 상륙 작전 강행

- 9. 28 서울 수복하고, 10월초에 38선 돌파

-10. 27 중공군 개입으로 유엔군 후퇴 시작

 

1951. 1. 4 서울을 버리고 수원~원주선으로 후퇴, 이때 정부는 부산으로 피난

- 3. 15 서울 재탈환, 38선 약간 북방까지 진격, 이후 전선은 38선 가까이서

교착 상태

- 6. 23 유엔군 소련 대표 휴전 교섭 제의

- 7. 10 개성에서, 10월 25일부터는 판문점에서 휴전 회담을 시작하여 2년 남짓 1,000시간 이상의 논쟁을 벌임

 

1953. 7. 27 휴전 협정 체결, 155마일 휴전선에 의한 국토 분단

- 인명 피해

한국군 전사 227,748 유엔군 전사 36,772 실종 43,572 부상 717,083

민간인 사망 224,663 학살 128,936 부상 229,625 납치 84,532

행방불명 303,312

- 시설 피해

공업 시설 42% 발전 시설 41% 탄광 시설 50% 주택1/3

기타 공공건물, 도로, 교량, 항만 등의 상당 부분이 파괴됨

 

2000년 6월 13일에 대한민국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하고, 남북한 정상 회담이 열렸다.

이 회담을 통하여 이산가족 문제 등 남북한의 현안에 대한 여러 가지의 합의가 이루어져 남북 관계가 점차 화해와 협력의 분위기로 전환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이 대남 적화 노선을 완전히 포기하지 않는 한, 우리는 결코 6․25의 비극적인 교훈을 잊어서는 안 되며 국가 안보에 더욱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전글 1월의 독립운동가
다음글 국기에 대한 예절(자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