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농업고등학교 로고이미지

게시판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발명교실 게시판입니다.
보리 생태 사전
작성자 주재석 등록일 25.03.20 조회수 16

 

 

보리 생태 사전

 

우리나라에 사는 동물, 식물, 균류 1602종 

보리 사전 편집부 편/윤구병 기획 | 보리 | 2025년 01월 02일

목차

기획자의 말
일러두기
1부 생물의 다양성
2부 자연과 생태계
3부 그림 모아 보기
4부 다른 이름 찾아보기


책소개


30여 년 동안 쉬지 않고 개발해 온 국책 사업 규모의 세밀화 작업,
그동안 개발한 세밀화를 집대성하여 만든 『보리 생태 사전』은 생태전환교육의 시작입니다.

교과서에서 배우는 거의 모든 생물을 찾아볼 수 있어요.
모든 생물을 과학적이고 아름다운 세밀화로 그렸어요.
동식물 이름을 가나다차례로 찾아볼 수 있어요.
한살이, 생태 정보, 쓰임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표와 아이콘으로 시각화했어요.
꼭 알아야 할 자연과 환경, 생태계 순환, 생물의 진화와 분류에 대한 정보도 담았어요.
생김새로 찾을 수 있도록 분류 순서로 그림 모아 보기를 실었어요.
다른 이름, 영어 이름, 북녘 이름으로도 찾을 수 있어요.
학교 교육과정에 맞춰 생태 정보를 체계적으로 구성했어요.

보리출판사가 이 땅에 살아가는 동식물을 세밀화로 기록해 온 지 삼십 년이 다 되어 갑니다. 삼십 년 전에는 흔히 볼 수 있던 생명체들을 지금은 쉽게 볼 수 없게 되었지요. 논밭에 농약을 뿌리면서, 바다를 모래로 메우고 땅을 넓히면서, 산림을 허물어 도시와 도로를 만들면서 말이에요. 또 우리의 삶은 무척 편리해졌는데 지구는 점점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급격한 기후 변화 때문에 때 아닌 가뭄이나 큰물이 지고, 말 못 하는 생명체들은 몸살을 앓습니다. 해마다 꿀벌 수가 줄어들어 식물의 꽃가루받이도 점점 힘들게 되었습니다. 꿀벌이 없으면 우리가 먹는 채소며 곡식이며 과일나무가 열매를 맺을 수 없고, 씨앗도 퍼뜨릴 수 없으니 당장 우리 삶에도 영향을 끼칩니다. 생물들은 생태계에서 끊임없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살아가기 때문에 어느 하나가 사라지면 그 균형이 깨지고 맙니다. 이 기후 위기 시대에 우리는 어떻게 다른 생명체들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지, 어떻게 하면 다양한 생물을 보전하고 생태계와 환경을 지킬 수 있는지 길을 찾아야 합니다. 그 길로 가는 첫걸음으로 우리 둘레에 어떤 생명체들이 살아가는지 아는 것부터 시작해 보면 어떨까요?



책 속으로

갯가게붙이 : 새우에서 게로 넘어가는 중간 단계에 있는 동물이다.
--- p.35

갯가재 : 성질이 사나워서 건드리면 머리를 치켜들고 맞서 싸우려 든다.
--- p.35

금개구리 : 올챙이도 금색 줄이 있다.
--- p.71

꼭두서니: 뿌리에서 붉은 물감을 뽑아서 옷이나 천을 물들였다.
--- p.87

무늬소주홍하늘소 : 애벌레는 나무속을 뱅글뱅글 돌아가며 파먹는다. 애벌레가 먹은 가지는 죽어서 부러진다.
--- p.207

비오리 : 비오리는 댕기깃이 빗은 것처럼 가지런해서 빗오리라고 했던 것이 바뀐 이름이다.
--- p.277

도롱뇽 : 도롱뇽은 앞다리가 먼저 나오고 뒷다리가 나온다.
--- p.143

호반새 : 살아 움직이는 먹이는 입에 물고 여러 번 쳐서 기절시킨 다음 먹는다.
--- p.515

혹돔 : 이름에 돔이 들어가지만 놀래기 무리에 든다.
--- p.516

기획 : 윤구병 (尹九炳)
197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하고 〈뿌리깊은나무〉초대 편집장과 보리출판사 대표를 역임했다. 쓴 책으로 《잡초는 없다》, 《실험 학교 이야기》, 《철학을 다시 쓴다》, 《내 생애 첫 우리말》, 《꽃들은 검은 꿈을 꾼다》, 《특별 기고》, 《꿈꾸는 형이상학》 들이 있다. 〈달팽이 과학동화〉, 〈개똥이 그림책〉을 비롯해 ‘세밀화 도감’을 기획하고 펴내 어린이책의 새 지평을 열었으며, 남녘과 북녘의 학생들이 함께 보는 《보리 국어사전》을 기획하고 감수했다. 우리 아이들이 슬기롭고 지혜로운 사람으로 살아 나갈 수 있도록 《보리 속담 사전》을 기획했다. 우리나라에 사는 생물의 다양성과 자연 생태계를 이해할 수 있는 《보리 생태 사전》을 기획하였다.


 

이전글 시골에서 월급 받고 살고 있습니다
다음글 1%의 힘 농업 안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