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패권 시대 우리말 |
|||||
---|---|---|---|---|---|
작성자 | 주재석 | 등록일 | 23.12.28 | 조회수 | 20 |
첨부파일 |
|
||||
류호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플렉시블 전자소자연구실 책임연구원은 '용어의 시민권'을 이야기한다. 누가 어떤 용어를 접하더라도 '대충' 어떤 느낌의 용어인지 체득적으로 아는 것을 말한다. 류 연구원은 "4G, 5G가 정확히 무엇인지 그 개념을 따지는 사람은 거의 없다"라며 "스마트폰, 노트북 등으로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ICT 분야는 연구의 결과물을 국민이 바로 접할 수 있어 용어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기도 전에 이미 용어를 체득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류 연구원은 "개념의 실체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용어와 매칭하는 과정에서 용어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진다"라고도 설명했다. 우발사체 분야에서 '대형 다단계 연소 사이클 엔진'이라는 용어를 용어 자체로 듣기만 하면 그 기능이 와닿지 않지만, 엔진의 형태를 실제로 살펴보는 순간 이해의 오류가 줄어든다는 의미다. 그는 "ICT 분야는 실생활에서의 접목이 빨랐고, 이에 따라 ICT 용어가 국민에게 곧바로 받아들여졌다"fk고 말했다. |
이전글 | 향수가 된 식물들 |
---|---|
다음글 | 아는 동물의 죽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