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여자고등학교 로고이미지

대입진학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대입 준비)대학전공 전공이해 가이드북
작성자 김영종 등록일 20.03.22 조회수 108
첨부파일

 대입 준비 고교생활 가이드북 (2015 개정교육과정 적용)

 

첨부파일: 학과별 고교 생활 준비자료

 

<경제학부>

경제학부 수업에서 교수님들은 항상 “경제학적 직관”과 “경제학적 논리”를 강조하십니다. 대학에 서 배우는 경제학은 어떤 경제적 문제 상황이 제시되고 이와 관련한 변수들을 빠르게 찾은 다음 그 변수 들을 사용한 그래프나 수식을 이용한 논증 과정을 통해서 증명하는 학문이라고 생각하면 좋습니다. 이런 경제학적 직관과 논리는 대학에서 경제학을 꾸준히 공부해야만 기를 수 있는 능력입니다. 그리고 대 학에서 경제학을 꾸준히 공부하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재학 중에 수학, 국어, 영어 과목의 기초를 다지는 것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수학은 경제학적 논리와 직결되는 과목입니다. 경제학부가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에 속해 있다는 점에서 알 수 있듯이 경제학이라는 학문은 사회 현상을 분석하고자 과학적 방법을 사용합니다. 과학적 방법이란 수학적 도구들을 의미합니다. 그래프와 수식을 사용하지 않는 경제학 이론은 없다고 봐도 과 언이 아닐 정도로 경제학 전공자에게 있어 수학은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경제학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개념인 최적화라는 개념은 경제 주체에게 가장 합리적인 점을 찾는 것을 말합니다. 최적화 지점을 찾는 데는 여러분이 고등학교에서 배운 미분의 개념이 응용됩니다. 고등학교 수학 과정에서 다루는 기본적 인 개념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만 경제학에서의 모델 분석이 수월할 것입니다.
제가 고등학교에서 공부할 때는 문·이과 교육과정이 뚜렷하게 나뉘어 있었기에 저와 동기들은 다항함수 의 미적분까지만 배우고 대학에 입학했습니다. 그런데 대학에서 첫 학기 이수하는 ‘경제원론’ 시간에 교 수님께서 로그와 지수 함수를 미분하셨고, 수업을 듣던 저와 동기들은 당황한 기억이 있습니다. 저희가 아직 대학에서 ‘경제수학’을 배우지 않았다고 말씀드리는 일이 있었습니다. 여러분이 대학에서 경제학 을 전공하고자 한다면 꼭 미분과 적분을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도록 고등학교에서 기본기를 갖출 것 을 권장합니다. 특히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진학을 염두에 두고 있는 학생이라면 고등학교에서 다항함수 의 미분과 적분을 다루는 <수학Ⅱ>과목은 반드시 선택하여 공부해야 하고 가능하면 <미적분>과 <경 제수학> 과목까지 이수하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국어 과목과 영어 과목은 경제학적 직관을 키우는 것과 직결됩니다. 여러분이 공부하며 접하는 여러 글 중에는 ‘경제’를 소재로 작성한 지문도 있을 것입니다. 아마도 한 번 읽어서는 선뜻 잘 이해되지 않는 어 려운 개념이 등장하는 지문을 읽고 당황한 기억도 있을 것입니다. 대학에서의 경제학 공부도 이와 다르 지 않습니다. 아니 어쩌면 여러분이 고등학교에서 마주하는 경제학 분야 지문들은 <경제> 교과서와 여 러 논문에 있는 경제학 모델들을 가장 쉽게 풀어 써놓은 것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대학에서 경제학 을 공부하기 위한 기본은 글을 읽고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기초 과목으로 구 성된 국어와 영어 교과를 충실히 공부하는 것입니다. 대학의 교수님들은 ‘경제학적으로 가장 좋은 모델
 사회과학대학 경제학부 국어, 영어, 수학으로 기초를 튼튼히 하세요
- S○○ 선배
p.11
은 수식을 적지 않고도 말로써도 설명이 되는 모델’이라고 말씀하십니다. 물론 수식이 동반되지 않는 경 제학 모델은 없습니다. 아마도 이렇게 말씀하신 것은 현실을 단순화하여 쉽게 설명할 수 있는 경제학적 직관의 중요성을 강조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경제학적 직관은 미시경제학, 거시경제학을 비롯 한 두꺼운 경제학 교과서들을 읽고 대학 4년 동안 꾸준히 공부함으로써 기를 수 있습니다. 제 경험에 비 추어보면 전공필수과목 중 ‘미시경제이론’, ‘거시경제이론’ 과목에서는 우리말 교재로 수업이 진행되었지 만 ‘경제수학’, ‘경제통계학’ 과목은 영어 교재로 수업이 진행되었습니다. ‘경제사’는 한글 논문과 영어 논 문이 절반씩 섞여 있었습니다. 즉 수식과 그래프를 완전히 이해하고 경제학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텍 스트를 잘 이해하는 능력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국어와 영어 교과는 중요합니다.  

이전글 수시대비 전공적합성과 자기주도적 학습기르기 팁
다음글 2020학년도 자기소개서 및 추천서 공통 양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