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고등학교 로고이미지

2020학년도 창체동아리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Job losses extend into July amid pandemic..(유예성)
작성자 유예성 등록일 20.08.17 조회수 7

제목: Job losses extend into July amid pandemic, unemployment rate up to 4%

 

원문:
South Korea lost about 277,000 jobs in July, marking a decline in the number of the employed for a fifth consecutive month, as the new coronavirus pandemic strained business activities, data showed Wednesday.

The country's jobless rate rose by 0.1 percentage point on-year to 4 percent in July, with the number of employed people falling to 27.1 million, according to the data compiled by Statistics Korea.

It marked the longest fall since the eight months of decline posted in 2009 ami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unemployment rate was also the highest for any July since 2000.

The unemployment rate for young adults -- those aged between 15 and 29 -- reached 9.7 percent, down 0.1 percentage point on-year.

"It is significant that jobs have been decreasing by a smaller margin since May," Finance Minister Hong Nam-ki said on social media.

The heavy rainfall recently observed in the country, however, may have an adverse impact on recovery, he added.

South Korea's annual rainy season has continued for around 50 days, the longest on record. This month, the rain has left 33 people dead and nine others missing, and some 7,600 people have been displaced from their homes.

"It is also hurtful that the job figures for young adults remain weak, and that industries involving face-to-face interactions, such as restaurants and the accommodation sector, are still facing troubles," he added.

The coronavirus outbreak has hit temporary workers hard, with the number of those workers plunging by 395,000 in July, the data showed. Jobs for day laborers shed 44,000 over the period.

The total number of unemployed people here reached 1.13 million in July, up 41,000 on-year. It marked the highest rate since 1.47 million posted in the same month of 1999.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unemployed people was mostly attributable to those aged 40 and above.

By industry, the accommodation and food service segment saw a decrease of 225,000 jobs last month, and the wholesale and retail sector lost 127,000 jobs.

"The decrease in the area came as people refrained from having gatherings or going outside due to the virus pandemic, along with the sharp tumble in the number of inbound tourists," said Chung Dong-myung, a senior official at Statistics Korea. 

In contrast, the social welfare sector gained 161,000 jobs in June, and the logistics industry added 58,000 jobs.

The employment rate for those aged between 15 and 64 reached 66 percent, down 1.1 percentage points on-year.

The number of economically active people decreased 236,000 to reach 28.2 million, while those inactive expanded by 502,000 to reach 16.5 million, the data showed.

The COVID-19 pandemic has been widely considered to have had a full-fledged impact on local job markets over the second half considering the time lag of one to two quarters of an economic crisis.

 

독해: 글로벌 금융위기 속에 2009년 8개월째 하락세를 보인 이후 가장 긴 하락폭을 기록했다. 실업률도 2000년 이후 7월 중 가장 높았다.

15~29세 청년층 실업률은 9.7%로 전년대비 0.1%포인트 하락했다.

홍남기 재정경제부 장관은 소셜미디어에 "5월 이후 일자리가 소폭 감소하고 있다는 것은 의미심장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최근 국내에서 관측된 폭우는 회복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그는 덧붙였다.

한국의 연간 장마는 기록상 가장 긴 50일 전후로 계속되었다. 이달 들어 내린 비로 33명이 숨지고 9명이 실종됐으며 7600여 명이 집을 비웠다.

그는 "청년들의 일자리 수치가 여전히 약세를 보이고 있고, 식당과 숙박업종 등 대면적 상호작용을 수반하는 업종이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도 상처가 된다"고 덧붙였다.

7월 임시직 근로자 수가 39만5천명 감소하는 등 코로나바이러스 발생으로 인해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큰 타격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용직 노동자의 일자리는 그 기간 동안 4만 4천 개가 감소했다.

7월 국내 전체 실업자는 113만 명으로 전년대비 4만1000명 증가했다. 이는 1999년 같은 달 147만 건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실업자가 늘어난 것은 40세 이상 고령층이 대부분이었다.

업종별로는 숙박·음식서비스업 일자리가 지난달 22만5000개 감소했고, 도소매업도 12만7000개의 일자리가 줄었다.

정동명 통계청 고위관계자는 "이 지역의 감소는 입국자 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것과 함께 바이러스 대유행으로 인해 사람들이 모임이나 외출을 자제하면서 발생했다"고 말했다.

반면 사회복지 분야는 6월 16만1000개, 물류산업은 5만8000개 일자리를 늘렸다.

15~64세 고용률은 66%로 전년 대비 1.1%포인트 하락했다.

경제활동인구는 23만6000명이 줄어 2820만명에 달했고, 비활동인구는 50만2000명이 늘어나 165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COVID-19 대유행은 경제위기의 1~2/4분기의 시차를 고려할 때 하반기에 걸쳐 국내 고용시장에 본격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널리 인식되어 왔다. 

이전글 What has the WHO been doing? (카드뉴스)
다음글 30210 엄희재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