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운중학교 로고이미지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학생 자살예방 교육 강화
작성자 청운중 등록일 09.07.13 조회수 161
 

 1. 추진 배경

  ❍ 우리나라 자살 사망률은 세계최고 수준(OECD 국가 중 1위)이며,

'07년 자살 사망률이 '06년 대비 사망원인 순위 5위에서 4위로 급상승

하여 우리사회의 생명경시 풍조 반증

  특히, 왕성한 활동시기인 10대와 20대 사망원위 2위, 1위가 자살

(고의적 자해)로 청소년 자살문제가 심각한 수준이며,

    - 최근 유명인 자살로 인한 청소년 모방 자살(베르테르 효과)이 우려되는   바, 집중적이고 체계적인 학생자살예방 대책 마련 시급

  또한, 자살은 가족과 사회 및 국민의 고통과 부담을 증가시키고,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국가 경쟁력과 발전의 저해요인으로 작용


2. 필요성

  자살은 초기 경고 사인을 보이며 이에 대한 신속하고 적극적인 개입으로 자살방지 가능

  청소년기 주요 상담ㆍ조력가는 교사와 또래 친구로 자살 위기상황 시 일차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주요 인력이나,

    - '자살'에 대한 인식과 대응능력 부족으로 학생 자살예방 교육

       위기 상황 대처능력 강화 필요


3. 현황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국가 중 최고 수준으로 지

  ’07년 자살사망자수는 12,174명, 자살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24.8명    (OECD 기준 보정치 24.0명)

  우리나라 사망원인 중 ‘자살’로 인한 사망은 ’92년 사망순위 10위에서, ’98년 7위, ’07년 4위로 급격히 상승

  학생 자살률 지속적 증가 및 높은 자살생각률

     ※ 청소년1) : 자살생각률 (韓)22.6% 〉(美)16.9%

【 초ㆍ중ㆍ고등학생 자살사망현황 (’05~’07) 】

구 분

경제

궁핍

가정

불화

우울/

비관

신체

결함

이성

관계

성적

비관

폭력/집단

괴롭힘

기타

'05년

2

15

16

4

4

5

0

19

65

5

17

14

7

6

5

2

14

70

7

32

30

11

10

10

2

33

135

'06년

4

14

9

2

2

9

0

12

52

2

12

17

0

10

4

0

11

56

6

26

26

2

12

13

0

23

108

'07년

2

31

15

5

4

12

1

15

85

1

19

14

2

5

7

0

9

57

3

50

29

7

9

19

1

24

142

                                              <자료출처 : 교육과학기술부, 2008>

  체 사망률 중 자살이 20대 1위, 10대 2위로 청소년 자살 사망률이 심각

 

1-9세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1위

운수사고

운수사고

자살

자살

2위

자살

운수사고

자살

간질환

뇌혈관질환

3위

익수사고

운수사고

간질환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4위

선천기형

익수사고

심장질환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당뇨병

5위

추락사고

심장질환

타살

간질환

운수사고

자살

자살

<자료출처: 김진학 “청소년 자살예방 전략과 학교중심 프로그램”>


4. 추진 계획

  학생 정신보건 및 자살예방 담당교사 연수 강화

     - 보건교사, 상담교사 및 담임교사 등 상담연수 확대

    ※ 각종 자격연수, 직무연수 등에서 관련 내용 연수 확대

  학생 자살예방 교육 및 자살위기 학생 관리방법 등 교사 연수 강화

     - 지역교육청 별 1회, 각급 학교 별 2회 이상

    ※ 각종 교육, 전달연수, 교직원회의 등에서 관련 내용 연수 확대

  학생 자살예방 교육 강화

    - 각급 학교 : 학기 별 1회 이상

    - 학생 자아정체성 형성지도 및 생명존중 교육 등 학생 자살예방 교육

    ※ 지역교육청 및 학교 자체 실시 후 추진현황 보고 : '09. 11. 10(화)까지

       <보고서식 6>

  ❍ 자살 예방 교육 강화 : 관련 교과 및 훈화/상담을 통한 “나를 사랑하기” 

     운동 전개

  ❍ 자살 사이트 폐해 차단 교육 철저

  ❍ 자살의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관찰․상담기능 강화

  ❍ 요선도 학생, 실직자 자녀, 소년․소녀가장 등 수시 상담 : 상담 리콜제

  ❍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가치관 교육 프로그램 활용


1) 2005년도 청소년 건강행태조사 심층분석 결과(대구가톨릭의대 박순우, 제2차 청소년 보건정책포럼, 07.3)


이전글 자살 시도 학생 지도
다음글 우울증 대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