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와의 대화 |
|||||
---|---|---|---|---|---|
작성자 | 홍경희 | 등록일 | 12.11.26 | 조회수 | 52 |
이렇게 자녀와 대화하세요 . ☞ 의기소침해진 아이 - 결과가 아니라 과정을 평가해 주세요 . “ 전에는 전혀 공부 안 하는 날도 있었는데 , 요즘은 날마다 공부하잖아 ~ 결과는 그렇 게 좋지 않지만 엄마는 네가 정말 열심히 노력했다는 거 알고 있단다 .” - 아이가 시합에서 졌을 때 억울한 기분이나 실망한 기분을 받아 주세요 . “ 많이 억울했구나 .” “ 무척 실망했구나 .” - 결과에 관계없이 잘한 점을 인정해 줍니다 . “ 엄마는 네가 졌지만 상당히 좋은 시합이었다고 생각해 .” “ 엄마는 끝까지 열심히 뛰는 걸 보고 굉장히 기뻤어 .” - 아이의 피곤하다는 말에 무조건 ‘ 더 걸을 수 있지 ’ 라고 단정지어 말하지 말고 아이의 생각을 듣는 것이 좋습니다 . “ 어 그래 , 피곤하구나 ! 그럼 넌 어떻게 하고 싶니 ?” “ 지금까진 참 잘 걸었어 , 이제 조금밖에 안 남았는데 조금만 더 힘을 내주면 엄마가 정말 좋을 텐데 .” - 아이 스스로 고를 수 있게 선택적으로 물어 보세요 . “ 여기에서 조금 쉴래 ? 아니면 역까지 가서 벤치에 앉아서 쉴래 ?” “ 저쪽 나무까지 업어줄까 ? 그러면 걸을 수 있겠니 ? 아니면 시원한 주스 마시고 잠깐 쉬면 걸을 수 있을까 ?” ☞ 끈기가 없는 아이 - 아이가 정말 가고 싶지 않다면 그만두게 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 아이가 그만두겠다고 말하면 이렇게 말해보세요 . “ 지금까지 잘해 왔구나 ! 다음엔 어떤 것을 배우고 싶니 ?” - 아이와 대화를 충분히 하고 그래도 아이가 하는 대로 놓아두면 안 되겠다는 판단이 서 면 , 태도를 분명히 하는 것도 좋습니다 . “ 네 기분은 알겠지만 더 이상은 엄마도 양보할 수 없어 .” |
이전글 | 일하는 엄마가 신경써야 할 일 |
---|---|
다음글 | 그림책을 읽어주는 7가지 원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