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룡초등학교 로고이미지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컴퓨터란
작성자 이순희 등록일 09.05.21 조회수 177

컴퓨터 [computer]

  전자회로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계산이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계로, 전자계산기라고도 한다. 컴퓨터에는 아날로그형(연속형)과 디지털형(계수형)이 있는데, 아날로그형은 1960년대 이후에는 거의 사용을 하지 않기 때문에 여기서는 주로 디지털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계산도구 중 가장 간단한 것은 주판이며,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다. 톱니바퀴를 응용한 수동의 계산기는 17, 8세기에 와서 파스칼과 라이프니츠에 의하여 창안된 이래 여러 가지로 개량되고 발전하여 가감산뿐 아니라 곱하기 나누기 계산도 자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만들었으나, 복잡한 계산의 처리순서를 자동화하는 데까지는 이르지 못하였다.  
  오늘날 컴퓨터에서 프로그래밍에 해당하는 일련의 명령을 해독하면서 자동적으로 계산을 실행하는 기계를 19세기 초에 영국의 수학자 배비지가 계획하였다. 그 시작기중에서 차분기관과 해석기관이라는 것이 현재에도 남아 있다. 배비지의 계산기는 모두 기계부품을 이용했기 때문에 성공하지 못하였으나 그 착상은 주목할 만한 것이었다.   
  자동적으로 계산을 실행하는 최초의 기계는 하버드대학의 에이컨이 지도하여 만든 릴레이 계산기 MARK-I로 1944년에 완성되었다. 전자식 계산기, 즉  진공관을 사용한 계산기로 최초로 성공한 것은 1945년경에 팬실배니아대학교의 모클레이와 에커드에 의하여 만들어진 ENIAC이다. ENIAC은 1만 9000개의 진공관을 사용한 규모가 큰 기계로서,  배선반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때문에 융통성이 부족하였다.   현재의 컴퓨터처럼 기억장치에 컴퓨터의 명령과 수치를 함께 기억시키는 이른바 내장방식을 제안한 것은 1946년 노이만으로, 오늘날 컴퓨터의 기본적인 지도원리가 되고 있다. 이 원리를 기초로 EDVAC(펜실베이니아대학교), IAS(프린스턴대학교), EDSAC(케임브리지대학교) 등의 개발이 시작되어, 49년 EDSAC이 최초로 프로그램 내장방식 컴퓨터를 완성하였고, EDVAC은 51년에 완성했다. EDVAC은 수은지연회로에 의한 전용의 기억장치 1,024어의 기억용량을 가지고 있고, 저장된 자료 및 명령어에 의하여 연산을 실행할 수 있다.
  최초의 상업용 컴퓨터는 스페리 랜드사의 UNIVAC-I로 1951년에 완성되었다. UNIVAC-I은 주기억용량이 2,000어로서 수은지연회로의 기억장치를 가지고 있고, 자기태이프를 입출력장치로 한 것이었다. 상업용 컴퓨터가 사용되기 시작한 이래로 지금까지 하드웨어 면에서 본 컴퓨터의 발달과정을 몇개의 세대로 나누어 보면, 제1세대는 진공관을 주요 소자로 하는 컴퓨터로 1950년부터 56~7년까지, 제2세대는 트렌지스터와 다이오드 등의 반도체소자를 사용한 컴퓨터로 57년경부터 64년경까지, 제3세대는 직접회로(IC)를 사용한 컴퓨터로 65년경부터 70년대 중반까지, 제4세대 컴퓨터는 75년부터 최근까지로 고밀도직접회로를 사용하고 있다. 제5세대는 인공지능형으로서 현재 계속 연구 중이다.
이전글 기본적으로 알아야할 컴퓨터 용어들
다음글 마이톱 웜 바이러스에 관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