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고등학교 로고이미지

급식게시판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2018년 3월식단표, 구매예정량통계표,식재료원산지 및 영양표시제,영양교육자료
작성자 박은복 등록일 18.02.23 조회수 124
첨부파일

                                 봄나물의 종류와 효능에 대해 알아보자!

◆ 흔하지만 귀한 봄나물 ‘냉이’= 봄나물 이야기에 냉이가 빠질 수 없다. 얼음이 채 녹지 않은 밭에서도 눈에  띄기 때문이다. 흔하다고 영양분 함량이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냉이는 채소류에 부족하기 쉬운 단백질이 풍부하고 춘곤증을 예방하는 칼슘·칼륨·철분이 많다. 더불어 비타민 A 함량도 높아 간과 눈을 튼튼하게 한다. 붓고 충혈된 눈에도 좋다.

◆ 돼지고기와 찰떡궁합 ‘달래’= 매운맛과 달착지근한 맛이 적당히 어우러진 달래는 마늘과 ‘사촌’ 격이다. 마늘의 대표적 성분인 알리신이 들어 있어서다. 알리신은 매운맛을 내는 물질로, 암 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단, 마늘은 산성식품인데 비해 달래는 다량의 칼슘을 함유한 알칼리성식품이다. 한방에서는 배가 더부룩하거나 아픈 증상을 치료하고, 종기와 독충에 물린 것을 가라앉힌다고 알려져 있다. 뜨거운 성질의 달래는 찬 성질의 돼지고기와 함께 먹으면 맛과 효능 모두를 얻을 수 있다.  

◆ 입맛·기운 돋우는 ‘봄동’= 나른한 봄날, 좀처럼 기운이 나지 않고 입맛도 없다면 봄동이 제격이다.
    봄동은 땅바닥에 누워서 자라는 배추를 말한다. 잎이 안쪽으로 모여 있는 것이 아니라 바깥으로 퍼져 있어 ‘떡배추’라고도 한다. 얼어붙은 땅속에서 묵묵히 봄을 기다려온 봄동은 일반 배추보다 줄기와 잎이 두껍지만, 수분이 많아 식감이 더 아삭하고 부드럽다. 또 씹을수록 고소한 맛이 침샘을 자극한다. 11월부터 수확하는데, 2~3월 나오는 것이 가장 맛있고 영양분도 많다. 식이섬유와 비타민 C가 풍부해 변비·다이어트·피부미용에 효과적이다.

◆ 간염 치료에 특효 ‘돌나물’= 돈나물·돗나물로도 불린다. 도톰한 잎이 촘촘히 달린 돌나물을 초고추장에 살짝 버무려 먹으면 상큼한 풋내가 입안을 가득 채운다. 효능 역시 뛰어나 목구멍 염증과 만성 간염 치료에 좋다.

◆ 약용식물로 잘 알려진 ‘방풍나물’= 방풍(防風)은 ‘감기·뇌졸중(중풍)·안면마비와 같은 ‘풍(風)’으로 인한 질병을 다스리는 한약재다. 반면 방풍나물은 ‘식방풍’으로 알려진 갯기름나물과 ‘해방풍’으로 불리는 갯방풍을 일컫는다. 바닷가 모래땅에서 나며, 갯바람에도 죽지 않고 잘 자란다. 나물이지만 건강에 이롭기는 한약재 방풍에 뒤지지 않는다. 특히 방풍나물의 뿌리는 풍을 예방하고 머리를 맑게 하는 작용을 해 예로부터 약용식물로 널리 쓰였다. 잎에도 몸에 좋은 유기산과 비타민이 많다. 살짝 데친 다음 고추장·된장에 조물조물 무쳐내거나 장아찌·김치 등으로 만들어 먹으면 좋다.

◆ 이른 봄에 즐기는 별미 ‘두릅’= 두릅나무에 달리는 새순인 두릅은 이른 봄에 즐길 수 있는 별미다.
    두릅은 인삼과 같은 사포닌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사포닌은 몸속의 해로운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이에 민간에서는 당뇨병이나 고혈압·고콜레스테롤을 다스리는 약재로 쓰기도 했다. 두릅은 끓는 물에 살짝 데쳐 초고추장에 찍어먹거나, 좀 억세다 싶은 것은 장아찌로 만들면 좋다.

이전글 2월23일(금) 사진으로보는 급식
다음글 2월22일(목) 사진으로보는 급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