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초등학교 로고이미지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정보통신윤리교육자료
작성자 사천초 등록일 11.03.14 조회수 228
[정보통신윤리]


1. 언어폭력

1) 언어 폭력이란 ?
홈페이지 게시판, E-mail, 채팅방의 채팅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게시 내용 및 대화 내용 중에서 상스러운 욕설과 인격 모독 혹은 허위, 비방하는 글들을 올리는 것

2) 인터넷 언어폭력의 유형
① 욕설 : 채팅이나 게임을 할 때 상대방에게 욕을 하는 경우
② 비방(명예훼손) : 상대방의 약점을 들춰내고, 헐뜯는 행위
③ 도배 : 같은 내용의 욕설이나 의미 없는 글들을 연속해서 게시하여 다른 사람이 말을 할 틈을 주지 않는 것
④ 성적 욕설(음담패설) : 성에 대한 노골적인 욕설을 하여 상대방에게 불쾌감과 수치심을 주는 행위
⑤ 유언비어 : 사실이 아닌 거짓 소문을 인터넷상에 퍼뜨려 상대방을 당혹스럽게 하고, 정신적인 피해를 입히는 행위

3) 명예훼손의 종류
① 일반 명예훼손 : 많은 사람들이 모인 공개된 장소에서 특정인을 지목해서 구체적인 사실을 지적하면서 상대방의 명예를 손상시키는 행위 (2년 이하의 징역)
② 출판물에 의한 명예훼손 : 신문이나 잡지, 출판물, 연극이나 공연 등의 공개된 매체를 통해서 상대방의 명예를 손상시키는 행위 (3년 이하의 징역)
③ 사이버 명예훼손 : 인터넷사이트, 게시판, 대량이메일, 채팅방 등에서 상대방의 명예를 손상시키는 행위 (7년 이하의 징역)

4) 언어 폭력의 문제점 해결 방안
① 학교에서의 방안 
` 바르고 고운말을 사용하도록 지도한다. 
` 상대방의 글에 대하여 화를 내지 말고 정중하게 바른 언어로 대답하도록 지도한다. 
` 학생들 스스로 잘못된 언어 폭력의 문제점을 깨닫게 하고, 무례한 네티즌을 찾아내 스스로 제재하고 정화할 수 있는
소양을 기르도록 한다. 
` 실명을 통해 자기의 의견을 개진하도록 한다.



2. 정보통신보안

1) 정보통신보안이란?
불법적으로 유무선 통신 장비를 이용한 도청 활동이나, 시스템에 침입하여 자료의 파괴 및 변형, 유출 행위를 사전에 예방하고, 이런 행위가 발생 시 이를 확인 및 추적하여 찾아내는 활동

2) pc사용자보안

① 윈도 자동업데이트 
` 컴퓨터 화면 왼쪽 아래의 [시작] 버튼을 클릭한다. 
` 메뉴 중 [설정]-[제어판]을 클릭한다. 
` [제어판] 창에서 “자동업데이트” 더블 클릭한다. 
` ‘자동(권장)’ 항목을 선택한 뒤, [확인]을 누른다.

② 패스워드를 이용한 보안 
` 롬바이오스(부팅) 패스워드 : 부팅을 할 때 롬 바이오스에 패스워드를 설정하여 시스템의 접근 자체를 차단
( F2키 또는 [del]키로 설정 ) 
` 윈도 로그온 패스워드 : 제어판에서 사용하는 계정을 열고 “암호만들기” 클릭한 뒤, 새 암호와 암호 힌트를 입력한다. 
` 화면보호기 패스워드 : 컴퓨터를 켜 두고 잠시 자리를 비울 때 보안을 위해 화면보호기(동작시간 10분 이내)에 암호를
걸어두면 외부인의 접근을 제한할 수 있음

③ 윈도XP 기본 제공 침입차단시스템 
` 윈도 XP 에서는 침입차단시스템이 기본 제공되며 세부 설정으로 인터넷이나 네트워크를 통해 PC로 들어오는 불필요한
트래픽을 차단할 수 있다. 
` 설정방법: [제어판] - [네트워크 연결] - [로컬 영역 연결] (마우스 오른쪽버튼) - [속성] - [고급] - [윈도방화벽 설정]의
"사용(권장)"에 체크한 뒤, [확인]을 누른다.

3) 인터넷이용보안

① 전자상거래 이용 시 고려해야 할 요소 
` ID나 패스워드를 사이트몰 별로 관리하거나, 사이트몰의 신뢰도 별로 패스워드를 달리하는 것이 좋다. 
` 보안로그인 기능을 제공하는지 확인/사용, 보안로그인 기능을 사용하면 해커의 도청 불가능 
` 신용카드 정보가 결제대행업체로 전송되는지 여부 확인 
` 쇼핑몰은 승인여부만 통보받기 때문에 신용카드 정보유출 위험이 감소 
` 결제정보가 전송될 때 암호화되어 전송되는지 확인 
` 회원가입에 앞서 사업장 주소, 연락처, 사업자등록번호, 대표자명 등 개인정보관리 책임자를 밝히고 있는지 확인 
` 개인정보보호 우수사이트 인증이나 공정관리위원회 표준약관 준수 여부 등을 확인

② 웹브라우저 이용 시 고려해야 할 요소 
` 인터넷은 신뢰할 수 없다는 가정 하에 웹브라우저를 설정함 
` 웹브라우저 메뉴의 [도구]-[인터넷 옵션]에서 [보안]탭에서 영역별 보안수준을 ‘기본수준’ 이상으로 설정 
` [개인 정보] 탭에서 보안수준이 [보통] 이상으로 설정 
` ID/패스워드 관리 : [도구]-[인터넷 옵션]-[내용]-[자동 완성]을 선택한 뒤, 자동완성기능을 해제한다. 
` 웹사이트에 로그인한 경우, 인터넷 사용을 종료하고자 할 때에는 반드시 로그아웃 버튼을 눌러줘야 한다.
웹브라우저를 닫았다고 해서 즉시 로그아웃이 되는 것이 아니다(세션 유지시간 약 20분 동안 정보를 보관함) 
` 웹사이트를 방문 시 ActiveX 컨트롤을 설치할지 여부를 묻는 화면이 뜨면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에 한해서 설치한다.




3. 해킹 및 스파이웨어

1) 해킹(Hacking)이란?
컴퓨터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이 허락되지 않은 다른 컴퓨터에 불법적으로 접근하여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빼내거나 정보를 마음대로 바꾸어 놓기도 하고, 심지어는 컴퓨터 운영체제를 손상시키는 것을 뜻함

① 해킹을 의심할 수 있는 피해 증상 
` 자기도 모르게 파일이나 프로그램이 삭제된 경우 
` 자기도 모르게 파일이 생성되거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는 경우 
` 중요 문서 파일의 암호화이유 없이 컴퓨터 속도가 느리거나 멈추는 경우

② 해킹 대응 방법 
` 윈도 보안패치 자동 업데이트 설정 
` 백신 프로그램 설치 
` 도움 필요시 요청(한국정보보호진흥원, 사이버테러대응센터)

③ 사전 예방 방법 
` 컴퓨터의 보안 업데이트가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설정 
` 백신 프로그램 또는 개인 방화벽 등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 
` 컴퓨터의 로그인 패스워드는 최소 8자리 이상의 영문과 숫자로 만들고 최소 3개월 마다 변경

2) 스파이웨어(Spyware)란?
컴퓨터 이용자 모르게, 또는 이용자를 속여서 설치되어 컴퓨터 사용자를 불편하게 하고, 인터넷 사용 정보(키보드 입력 내용 등) 을 가로채가는 악성 프로그램

① 스파이웨어 감염을 의심할 수 있는 증상 
` 웹 브라우저의 홈페이지 설정이나 즐겨찾기 등이 변경되는 경우 
` 원하지 않는 광고창이 뜨거나 성인사이트로 접속되는 경우 
` 이용자가 프로그램을 삭제하거나 종료할 수 없는 경우

② 사전 예방 방법 
` 믿을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만 방문하고 의심되는 광고나 게시물은 클릭하지 않는다. 
` 인터넷 사용 도중 소프트웨어 설치를 알려주는 ‘보안경고창’ 이 뜰 경우, 믿을 수 있는 사이트에 한해서만 “예”를 선택
한다. 
` 스파이웨어 제거 프로그램 설치 바이러스 백신 이외에 반드시 스파이웨어용 프로그램을 따로 설치하여 사용한다. 
` 스파이웨어 다운로드 사이트 : 안철수 연구소, 하우리, 김랩, 에브리존, 노애드, 비전파워 
` 다음 사이트에 접속해서 자신의 주민등록번호가 도용되었는지를 확인해 봅시다.
한국신용평가정보원(www.creditbank.co.kr) / 서울신용평가정보(www.siren24.com)



4. 통신사기

1) 통신 사기(인터넷 사기범죄)란?
컴퓨터 통신망 또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이용자들에게 물품이나 용역을 제공할 것처럼 기만하는 메시지를 보내어 금품 등을 탈취하는 행위를 의미

2) 피싱(Pishing)이란?
개인정보(Private data)와 낚시(Fishing)의 합성어로, 인터넷 이용자들에게 유명회사를 사칭하는 e-메일을 보내고 위장된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계좌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하여 이들 정보를 이용해 금융사기를 일으키는 신종 사기 수법

3) 보이스피싱(Voice Pishing)이란?
음성(voice)과 개인정보(private data), 낚시(fishing)를 합성한 신조어로 전화를 통해 불법적으로 개인정보를 빼내서 사용되는 신종범죄를 말함

4) 파밍(Pharming)이란?
합법적으로 소유하고 있던 사용자의 도메인을 탈취하거나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 또는 프락시 서버의 주소를 변조함으로써, 사용자들로 하여금 진짜 사이트로 오인하여 접속하도록 유도한 뒤에 개인정보를 훔치는 새로운 컴퓨터 범죄 수법
? 피싱(Phishing)에 이어 등장한 새로운 인터넷 사기 수법
? 넓은 의미에서는 피싱의 한 유형으로서 피싱보다 한 단계 진화한 범죄의 형태



6. 개인정보보호

1) 아이핀(i-PIN)이란?
“인터넷상 개인식별번호(Internet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로써, 대면확인이 어려운 온라인에서 본인을 확인
받을 수 있는 수단

2) 아이핀 종류와 발급기관
개인아이디인증(서울신용평가정보) , 개인인증키 (한국신용정보) , 가상주민번호(한국신용평가정보),
범용공인인증서(한국정보인증), 그린버튼서비스(한국전자인증)

이전글 일본의 디지털 교과서와 미래학교
다음글 자녀의 올바른 컴퓨터 교육을 위해 부모가 해야 할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