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성적인 우리 아이 발표력 키워주기 |
|||||
---|---|---|---|---|---|
작성자 | 오헌철 | 등록일 | 11.05.06 | 조회수 | 50 |
초등학교에 입학하거나 새 학년으로 올라가는 자녀를 둔 학부모들은 아이가 새로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을까가 가장 큰 고민이다. 특히 내성적인 성격의 아이를 학교에 보낼 경우 친구들 앞에서 주눅이 들지는 않을지, 또 의사표현을 제대로 못해 수업에 어려움을 겪지는 않을지 걱정이 되기도 한다. 소극적이고 내성적인 아이는 취학 후에도 부모가 꾸준히 발표력을 향상 시켜주는 것이 필요하다. 학교에서 일어난 일들을 아이의 관점에서 들어보고 이럴 때는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발표할 때는 어떤 마음으로 해야 하는지 등을 차근차근 가르쳐 주는 것이 필요하다. 초등학교 저학년을 위한 발표력 향상법에 대해 살펴본다.
아이의 발표력 수준을 체크하자
발표력을 키워주기 위해선 먼저 아이의 수준을 정확히 체크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업시간에 의견이 채택되는 경우가 많은지, 발표할 때 목소리가 떨리지 않는지, 시간에 맞게 발표할 수 있는지 등을 미리 확인해 봐야 한다. 체크리스트에서 26점 이상을 얻으면 발표력이 뒤어난 아이로 이미 발표에 자신감이 붙은 상태, 목소리와 발음, 표현방법, 말의 속도 등 세세한 부분에 신경 써서 발표력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13-25점을 얻으면 발표 시 주제가 명확하지 않거나 자신의 생각을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지 모르는 경우다. 하나의 주제에 맞춰 두세 문장의 짧은 의견을 말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12점 이하는 지목을 당할까봐 수업시간 내내 고개를 들지 못하는 수준, 한 문장이라도 똑똑하게 말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잦은 칭찬으로 발표에 자신감을 키워 주는 것이 필요하다.
유형별 발표력 기르기
남 앞에 나서길 두려워 하는 친구들과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법을 먼저 배우는 것이 좋다. 친구들과 함께 운동이나 취미활동을 하는 기회를 많이 만들어주고,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자신의 의견을 말하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거울 앞ㅊ에서 미리 준비해 둔 내용을 천천히 이야기하도록 하고, 캠코더로 녹화하며 말할 때의 습관 등을 스스로 고치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생각을 잘 표현하지 못하는 아이는 다른 사람의 말에 귀 기울이는 연습을 하게 하는 것이 좋다. 발표 시간과 장소, 분위기, 참여자의 특성 등을 자세하게 파악한 뒤 이를 하나씩 기록하면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는 습관을 들여주자. 생각을 자유롭게 말하는 '3분 스피치'시간을 집에서 마련해주고, 매일매일 느낀 점을 일기 쓰듯 말하게 하는 방식이 도움이 된다. 자신감이 부족한 아이는 완벽주의를 강요하는 부모나 과잉보호를 받은 경우에 많이 발견된다. 겉으로 드러난 결과를 중시하기보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정이나 아이의 태도를 칭찬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부모의 칭찬이 늘어날수록 아이의 자신감은 커진다. 실수를 두려워하는 아이는 잘못된 부분을 지적하기 전에 아이의 생각에 긍정적 반응을 보여 주는 것이 필요하다. 실수 후 어떻게 대처하는지에 대해서도 미리 가르쳐 주자. 발음이 약간 꼬인 정도의 가벼운 실수라면 다음 내용으로 자연스럽게 넘어가고 발표 주제가 틀리는 등 큰 실수라면 솔직히 사과하라고 가르치는 것이 좋다.
성공적인 발표를 위한 기본 자세
첫마디가 힘이 있고 관심을 끄는 말이라면 쉽게 시선을 모을 수 있다. '지구의 나이는 70세입니다' 등 짧고 간결한 말로 주의를 그는 것이 좋다. 새 학년이 되어서 자기 소개를 할 때도 이름이나 사는 곳을 죽 늘어놓기보다 '축구선수와 이름이 같은 김지성입니다'라는 식으로 효과적인 소개법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 우물주물 하지 말고 당당하고 자신있게 말을 이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사람들의 눈을 피하기 보다 시선을 고정시킨 뒤 자연스럽게 이동하고 간결하나 문장을 또박또박 읽는 연습을 하면 도움이 된다. 문제점이나 억울한 점을 말할 때는 목소리 톤을 약간 낮추고, 궁금한 점은 말꼬리를 조금씩 높여 주는 것이 좋다. 일반적인 내용을 발표하면 청중들이 쉽게 지루해 하므로 일상생활의 경험이나 다양한 사례를 들어 발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웅진교육문화연구소 이교성 수석연구원은 "가정에서 아이의 발표력을 키워 주기 어렵다면 역할극과 표정 훈련, 회의진행, 리더십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가진 기관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학급당 인원과 교육 횟수, 수준별 프로그램 운영 여부를 잘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발표력 체크리스트 1. 토론수업 시 내 의견이 채택되는 경우가 많다. 2. 남들이 발표할 때 잘하는지 못하는지 신경 쓰인다. 3. 자신의 생각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편이다. 4. 발표할 때는 철저하게 준비하는 편이다. 5. 내 발표를 들어주는 사람이 많을수록 좋다. 6. 발표를 잘하기 위해 나름대로 방법을 궁리한다. 7. 발표 시 목소리가 크고 떨지 않는다. 8. 발표시간에 항상 손을 드느느 편이다. 9. 말투는 물론 시선과 감정 처리, 동작에도 신경을 쓴다. 10. 수업시간에 모르는 것이 있으면 선생님께 즉각 물어보는 편이다. 11. 발표할 때 별로 긴장하지 않는다. 12. 발표시간이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시간에 맞게 발표한다. 13. 발표 중 독같은 내용을 반복하지 않고, 내가 주장하는 바를 명확하게 전달하는 편이다. === 항상 그렇다(3점) ==자주 그렇다(2점)=가끔 그렇다(1점) 전혀 그렇지 않다(0점)
발표력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곳 TMD교육그룹 초4-고2 31만-48만원 자기주도적학습 워크숍,발표력키우기 02-512-1323 www.tmdedu.com 현대웅변스피치 초1-중3 8회코스 20만원 1대1학습, 발표력 실기훈련 02-798-4080 www.21speech.com 양인석 지도자교실 초1-초6 주1회 정규과정 15만원 회의진행, 역할극 훈련 02-575-3434 www.jidoja.com 한소리학원 7세-초5 주2회 정규과정 8만5천원 뉴스 진행, 어린이회의 진행 02-2679-3394 www.ihansori.co.kr 연세스피치학원 초1-중1 12회코스 60만원 수준별교육, 발표시 문제점 진단 02-739-2004 www.nicespeech.com 현대스피치아카데미 초3-고3 10회코스 28만원 감정표현훈련,사회보기 실습 031-257-8280 www.hd119.co.kr YBM리더십아카데미 초1-고3 1개월과정 20만원 프리젠테이션기법 02-5027-111 www.ybmleader.com JK스피치 초1-초6 주1회 4주코스-12주코스 15-36만원 스피치신체표현법,리더십교육 02-534-5304 www.speech.homepee.net ICAN스피치센터 초1-초6 주1회과정 12만원 스토리텔링 교육, 말하기훈련, 스피치 02-533-1317 www.icanspeech.com 손준스피치리더십교육센터 초1-초6 주2회과정 12만원 연설문작성,자신감키우기 02-477-7400 www.speechok.or.kr 동아일보 2008년2월26일화요일 옮김 |
이전글 | 순수한 어린 시절 최고의 책은? |
---|---|
다음글 |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ADH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