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산일출봉의 비밀 |
|||||
---|---|---|---|---|---|
작성자 | 조예윤 | 등록일 | 16.05.17 | 조회수 | 36 |
첨부파일 |
|
||||
성산일출봉의 비밀 1.성산일출봉의 지질학적 특성 일출봉은 하나의 봉우리로 된 것이 아니다. 일출봉 정상은 오목한 분지 형상을 하고 있는데, 지름은 약 600m이고 바닥과 가장자리와의 고도차는 100m가량 된다. 분화구의 가장자리는 100개가량의 날카로운 봉우리로 둘러싸고 있는데, 어떤 이는 보석 반지에서 보석이 빠져 나간 모습에 비유하기도 한다. 일출봉이 있는 성산리의 성산(城山)역시, 정상에 있는 봉우리의 형상에서 비롯된 지명으로 판단된다. 일출봉의 고도는 182m밖에 되지 않지만 경사가 아주 급하기 때문에 오르기가 만만치 않다. 일출봉은 두 방향으로 본섬과 연결되어 있다. 하나는 오른편 성산포항 쪽에 있는 갑문다리인데, 인위적으로 만든 것이다. 다른 하나는 사진에서는 왼편이 잘려 있지만 일출봉과 신양리를 잇는 모래톱으로 된 육계사주이다. 육계사주는 그 길이가 무려 1.5㎞가량 되며, 그 위로 도로가 만들어져 있다. 사진 왼편 사빈에서 보듯이 육계사주를 이루는 물질은 흑색 모래인데, 모래 아래에 있는 신양리층과 마찬가지로 모두 일출봉이 파도에 깎이면서 생겨난 모래로 이루어진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일출봉 4 (앵글 속 지리학 (하), 2011. 12. 15., 푸른길) 위에 내용 사진(네이버 사전 출처) 일출봉은 하나의 봉우리로 된 것이 아니다. 일출봉 정상은 오목한 분지 형상을 하고 있는데, 지름은 약 600m이고 바닥과 가장자리와의 고도차는 100m가량 된다. 분화구의 가장자리는 100개가량의 날카로운 봉우리로 둘러싸고 있는데, 어떤 이는 보석 반지에서 보석이 빠져 나간 모습에 비유하기도 한다. 일출봉이 있는 성산리의 성산(城山)역시, 정상에 있는 봉우리의 형상에서 비롯된 지명으로 판단된다. 일출봉의 고도는 182m밖에 되지 않지만 경사가 아주 급하기 때문에 오르기가 만만치 않다. 일출봉은 두 방향으로 본섬과 연결되어 있다. 하나는 오른편 성산포항 쪽에 있는 갑문다리인데, 인위적으로 만든 것이다. 다른 하나는 사진에서는 왼편이 잘려 있지만 일출봉과 신양리를 잇는 모래톱으로 된 육계사주이다. 육계사주는 그 길이가 무려 1.5㎞가량 되며, 그 위로 도로가 만들어져 있다. 사진 왼편 사빈에서 보듯이 육계사주를 이루는 물질은 흑색 모래인데, 모래 아래에 있는 신양리층과 마찬가지로 모두 일출봉이 파도에 깎이면서 생겨난 모래로 이루어진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일출봉 4 (앵글 속 지리학 (하), 2011. 12. 15., 푸른길),(사진 네이버 사전 출처) 응회환(tuff ring)과 응회구(tuff cone)는 모두 마그마가 얕은 바닷물이나 지하수와 만나 갑자기 식어 먼지처럼 미세하게 짜개지고, 그것이 끓는 물의 압력에 폭발적으로 분화한 결과 쌓인 것이다. 화산재가 화구를 중심으로 멀리 이동하면서 도넛 모양으로 쌓인 것을 응회환이라 한다면, 응회구는 화산재가 화구 위로 높이 올랐다가 화구 주변에 높게 쌓인 것을 말한다. 응회구의 경우 그 높이가 100m 이상이고 화산재 층의 경사는 30° 내외이며, 분화구는 지면보다 훨씬 높은 곳에 있는 것이 보통이다. 일출봉은 이 모든 조건을 충족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일출봉 3 (앵글 속 지리학 (하), 2011. 12. 15., 푸른길) 성산일출봉 생태계의 특성 제주도 서귀포시 성산읍에 위치하는 성산일출봉은 수중화산 폭발로 형성된 전형적인 응회환(tuff ring)으로, 파도의 침식 때문에 지층이 그대로 드러나 있다. 해발 182미터의 정상에는 지름이 600미터에 달하는 거대한 분화구가 있다. 고운 화산재가 분화구 둘레에 원뿔형으로 쌓여 경관이 수려하며, 특히 정상에서 바라보는 해 뜨는 광경이 유명하다. 주변 해역에는 127종의 해조류와 177종의 바다동물이 서식하는데, 한국 고유종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또 제주도의 생성 초기에 해당하는 신생대(新生代) 제4기초에 형성된 성산리층(城山里層)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층은 회색·황갈색·담회색 또는 암회색을 띠는 중립(中粒) 내지 조립질응회암(粗粒質凝灰岩)으로 되어 있다. 고결도(固結度)는 낮은 편이나 침식에 대한 저항력이 강해 기암절벽을 이룬다.
성산 일출봉은 해안에 있는 도두봉·송악산·용머리 등과 같이 수중에서 분출되어 형성된 분화구가 융기하여 지표면 위로 솟아올라 형성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원지형을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해중(海中)에서 융기하면서 풍화 및 침식작용을 받았다는 사실은 측면에 발달된 층리(層理)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성산 일출봉의 육상식물은 제주분홍풀과 같은 신종식물을 포함하여 73과 179속 220종으로 조사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성산 일출봉 [城山 日出峰]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3.성산일출봉의 보존방안 우선 성산일출봉이나 올라갈 때 보면 계단이나 정상에 쓰레기들이 보인다.그 쓰레기 들일 잘 분류해서 잘 버려주면 될꺼 같고 또 올라가면서 풀이나,꽃들등 식물이 있는데 그 식물들을 아껴주고 뽑지 않으면 좋겠다.그리고 정부나 나라에서 더욱 성산일출봉의 신경을 써서 계속 안전하고 잘 지켜나갔으면 좋겠다. 인증샷(카메라로 찍은것) |
이전글 | 교장선생님께 |
---|---|
다음글 | 엄마의 가족들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