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수행평가 |
|||||
---|---|---|---|---|---|
작성자 | 박다인 | 등록일 | 17.06.27 | 조회수 | 25 |
1. 서론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는 판소리, 줄타기, 강강술래, 처용무, 아리랑 등 여러 가지 가 있는데, 그중 제가 소개할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은 판소리, 아리랑, 강강술래입니다. 2. 본론 첫째, 판소리는 장단에 맞추어 부르는 표현력이 풍부한 노래와 일정한 양식을 가진 말, 풍부한 내용의 사설과 몸짓 등으로 구연 되는 이 대중적 전통은 지식층의 문화와 서민의 문화를 모두 아우르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입니다. 둘째, 아리랑은 한민족을 하나로 묶고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힘을 가진 아리랑은 심금을 울리는 한민족의 노래이고, 지극히 단순한 곡조와 사설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즉흥적인 편곡과 모방이 가능하고, 함께 부르기가 쉽고, 여러 음악 장르에 자연스레 수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셋째, 강강술래 노래를 부르다가 기와 밟기, 덕석몰이, 쥐잡기놀이, 청어 엮기 등 농촌이나 어촌 생활을 장난스럽게 묘사한 놀이를 하는 것이 특징이다. 단순한 음률과 동작 때문에 배우기 쉽고, 여성들이 이웃 여성들과 함께 춤추는 가운데 협동심·평등·우정의 교류를 함께 했습니다. 3. 결론 제가 보존하고 싶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은 아리랑입니다. 보존하고 싶은 이유는 위에서 말했던 것처럼 아리랑은 한민족을 하나로 묶고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힘을 가졌기 때문입니다. 제가 생각한 아리랑을 보존 할 수 있는 방법은 현재 가요처럼 중독성 있게 만들어서 사람들에게 들려줍니다. 중독성 있게 만들면 머릿속에 남아있으니까 사람들이 잊지 않을 겁니다.
|
이전글 | 친구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노래 |
---|---|
다음글 | 눈물의 룰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