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 총 2개
나예원
2020.05.18 10:03
정답부터 선생님이 쭉 적어줄게~.
<사회>
1. 관용
2. 비판적 태도
3. 양보와 타협
<수학-윗 문제>
면과 면이 만나는 선분의 개수는 각기둥 각의 수 x 3.
따라서,
- 가: 9개 나: 12개 다: 15개
선분과 선분이 만나는 점의 개수는 각기둥 각의 수 x2.
따라서,
- 가: 6개 나: 8개 다: 10개
각기둥의 높이는 옆면의 높이를 잰다.
<수학-아래 문제>
전개도 접었을 때 각기둥이 되는 것:
다: 오각기둥
라: 육각기둥
가는 면과 면이 겹쳐져서,
나는 옆면이 하나 부족해서 각기둥이 될 수 없음.
체육: 발목을 삐었을 때는 뜨거운 물주머니가 아니라 차가운 물주머니로,
팔에서 피가 날 때는 상처 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나예원
2020.05.18 10:03
우선 사회 문제를 다시 살펴보고, 어디에서 틀렸는지 확인해 보면 좋겠네^^
다른 사람의 의견을 받아들이는 것 <- 관용.
다른 사람의 의견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문제점을 발견하여 고쳐나가는 것<- 비판적 태도
다른 사람의 의견에서 받아들일 건 받아들이고, 내 의견에서 양보할 것은 양보하며 서로 조합하는 것 <- 양보와 타협이라고 할 수 있겠지?
수학은 <가>와 <나> 모두 각기둥이 될 수 없단다. 한번 전개도를 확인해보렴. 밑면이 같은 쪽에 붙어 있어서, 겹치게 되겠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