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 총 2개
나예원
2020.05.18 10:04
정답부터 선생님이 쭉 적어줄게~.
<사회>
1. 관용
2. 비판적 태도
3. 양보와 타협
<수학-윗 문제>
면과 면이 만나는 선분의 개수는 각기둥 각의 수 x 3.
따라서,
- 가: 9개 나: 12개 다: 15개
선분과 선분이 만나는 점의 개수는 각기둥 각의 수 x2.
따라서,
- 가: 6개 나: 8개 다: 10개
각기둥의 높이는 옆면의 높이를 잰다.
<수학-아래 문제>
전개도 접었을 때 각기둥이 되는 것:
다: 오각기둥
라: 육각기둥
가는 면과 면이 겹쳐져서,
나는 옆면이 하나 부족해서 각기둥이 될 수 없음.
체육: 발목을 삐었을 때는 뜨거운 물주머니가 아니라 차가운 물주머니로,
팔에서 피가 날 때는 상처 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나예원
2020.05.18 10:05
수학 아래문제만 다시한번 살펴볼까?
<가>와 <나>는 각기둥이 될 수 없단다.
<가>는 면이 겹치는 부분이 생겨나고(이건 상상력을 동원해야 하는데, 잘 상상이 안 가면 똑같은 모양을 그려서 접어보면 알 수 잇단다)
<나>는, 오각기둥의 경우 옆면이 5개, 육각기둥의 경우 옆면이 6개, 이렇게 이름 따라서 옆면 개수가 필요하거든? 그런데 <나>는 옆면 개수가 부족해서 각기둥이 될 수 없지~~
나머지 과제는 아주 잘 했습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