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 총 8개
조민기
2021.06.02 13:25
수정
삭제
2015년 공해로 인한 질병으로 전 세계 약 650만 명이 조기 사망했다. 오염물질은 야외에서 주로 발생하는 배기가스,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실내난방 및 취사에 사용된 연료로 인한 오염도 포함됐다.
대기오염에 이어 가장 심각한 문제로는 수질 오염으로 드러났다. 오염된 물로 인해 사망자 수는 전 세계 180만 명이었으며, 공장 등 근무환경에서 나오는 오염으로 약 80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구진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 저소득계층일수록 환경오염으로 의한 질병에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비정부 연구기관 퓨어어스(Pure Earth)의 카르티 산딜야 연구원은 "오염, 빈곤, 취약한 건강, 사회적 불평등은 모두 긴밀히 연관된 문제다"고 말했다.
덧붙여 "오염은 생명권, 건강, 안전한 근무환경, 아동과 취약계층을 소자들의 보호 등 인간의 기본권을 위협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은빈
2021.06.02 13:27
수정
삭제
https://www.youtube.com/watch?v=ah2tAyTbUTI
조민기
2021.06.02 13:28
수정
삭제
http://image.dongascience.com/Photo/2018/04/1a7e7497450aad3fe9d23d9de6ad4b71.jpg
김은빈
2021.06.02 13:29
수정
삭제
https://www.youtube.com/watch?v=uhuHdomyDf4
조민기
2021.06.02 13:39
수정
삭제
환경신문고란?
환경오염행위를 환경신문고(☏128)* 등을 통해 행정기관에 신고하는 행위임
* ’19.12.3 이후부터 수신자부담서비스 시행 중
※ 지자체가 환경오염행위 신고 접수 및 포상금 지급 등 실질업무 수행(환경부는 제도운영)
환경오염행위 신고대상
오·폐수 무단방류, 무허가(미신고) 배출시설 운영, 배출시설 또는 방지시설 비정상가동, 오염토양의 투기 및 누출·유출, 악취발생물질의 소각, 폐기물 불법매립, 국립공원내 자연 훼손 등을 포함
※ 대기환경보전법, 물환경보전법, 폐기물관리법 등 환경법 위반행위
환경오염행위 신고방법 및 접수
6하 원칙에 따라 환경신문고(☏128) 일반전화, 인터넷(국민신문고) 등을 통해 신고
※ 지방자치단체장 등은 현장조사 등을 통해 환경법 위반행위를 확인하고 행정처분 등을 적절히 조치 후 신고인에게 결과를 알림
신고포상금 지급
신고내용이 사실로 확인되면 관할 자치단체의 장이 최저 3만원부터 최대 300만원까지 지급(단, 자치단체마다 예산 등을 고려하여 조례로 포상금 지급기준을 달리 정할 수 있음)
※ 자세한 사항은 국가법령정보센터(환경오염행위 신고 및 포상금 지급 규정)를 검색하거나 관할 지자체에 문의
조민기
2021.06.02 13:46
수정
삭제
https://d1s0awd0642fry.cloudfront.net/cards.exports/vg/vgddb5nbnkb1ti/vgddb5nbnkb1ti.mp4?_ver=1593329840
조민기
2021.06.03 09:26
수정
삭제
한국에서 몇십년 동안 용산이나 의정부 등지에서 주둔하고 있던 주한미군이 평택으로 부대를 옮기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문제는 미군이 주둔하고 있던 용산이나 의정부 등지의 부대안의 땅이 미군들이 사용하고 함부로 버린 폐유라던가 중금속 범벅 덩어리들인 폐기물등의 무단 매립이나 처리등으로 오염되어 버린 사례입니다.
또 카드늄이나 납, 비소 같은 치명적으로 유해한 중금속 등으로 오염된 대표적인 환경오염 사례로는 각종 대규모 공단이나 대도시에 인접한 하천이나 강, 폐광지 주변 등이 중금속등의 오염물질 등으로 퇴적되어 있는 경우입니다. 이러한 오염 지역에서 재배된 농산물은 자연스럽게 중금속에 오염되기 때문에 국민들 건강에 대단히 위험한 사태가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김은빈
2021.06.15 11:40
수정
삭제
언어 단어의 일부분이 줄어든 말. 또는 여러 단어를 한 단어로 줄여 만든 말. ‘사이’가 ‘새’로, ‘지방 자치 제도’가 ‘지자제’로 된 것 따위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