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 총 30개
조영찬
2020.03.26 10:22
수학:진분수(나누기)자연수 계산.(예)8분의4(나누기)2면 8분의2다
그리고 9분의4(나누기)3이면 나누지 못하니까 분자 분모를 3씩 곱한다.
자연수(나누기)자연수.사람 4명이 있고 사과가 5개가 있을때 한사람당 1개씩 주고 남은 한개는 1족각씩 나누어준다. 그리고 이걸 분수로 나타내면,1과4분의1이 나온다.
사회.5.18 민주화 운동:(원인):유신 독재 시대에는 사람들의 의견 무시,국민의 기본 귄리 없었다.1979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이 피살 그리고 국민들의 민주화가 될것을 기대했다.하지만 1212 사태가 일어난다.(과정)이들은 일을 반대하려고 서울 광주에서 시위를 버렸다.이것은 평화 시위 였다.많은 사람들이 다치거나 끓려갔다.계엄령을 풀어달라고 말했다.(결과).시민들을 기억하기 위해 국립 5.18 민주 묘지 추모탑을 세웠다.그리고 국가 기념일로 하였다.
이경희
2020.03.27 12:11
조영찬 :
사
이서은
2020.03.26 10:46
수정
삭제
1.e학습: 수학-자연수÷자연수 (예): 5÷4는 4분의 5이다 대분수로 바꾼다면 1과 4분의 1이 된다. 그리고 7÷4=7에 4가 1번들어가고 3이남기 때문에 1과 4분의 3이다.
진분수÷자연수 (예): 9분의 8나누기 2는 분자가 자연수의 배수임으로 약분을 하여 계산할수있다.그러므로 9분의 8나누기 2는 9분의 4이다.또 4분의 3나누기 2는 분자가 자연수의 배수가 아니기 때문에 약분할수없다. 이때는 분자가 2의 배수인크기가 같은 분수로 바꿔서 계산한다.
사회-5.18 광주민주화 운동- 원인→박정희 대통령이 장기 집권을 위해 헌법을 바꾸고 사람들의👥 의견을 무시하고, 국민의 기본적인 권리를 빼앗았다 1979년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이 피살 장했고 국민들은 민주화가 되기를기대했다, 하지먼 전두환이 중심이 된 새로운 군부가 12.12사태를 일으켰다, 시민들은 이를 반대하기 위해 서울,광주 에서 민주화 운동을 하였다.이에 군인들은 계엄군을보내 무력으로 진압했다 그결과 많은 사람들이 죽거나다쳤고 잡혀가기도했다. 결과→시민들의 노력을 기억하기위해 1997년 5월 18일을 국가 기념일로 제정했다.
이경희
2020.03.27 12:11
이서은 :
랑
김수환
2020.03.26 11:24
김수환 1.국어-적절한 근거 알기:적절한 근거가 없고 자기 주장만 하면 다른사람을 설득하기가 어렵다.그러니 주장과 관련된 근거,구체적인 근거,도표나 통계자료 제시를 한다면 설득할수도 있다.이것이 근거의 중요성 인것같다
이경희
2020.03.27 12:11
김수환 :
해
허솔비
2020.03.26 11:44
수학-(자연수)÷(자연수)의 몫을 분수로 나타내기:ex)5÷4=4분의5,7÷4=4분의1이 7개 있는 것,(진분수)÷(자연수)의계산원리:[ex)9분의8÷2]분자가 자연수의 배수일 때 분자를 자연수로 나눌 수 있다.[ex)4분의3÷2]분자가 자연수의 배수가 아닐 때는 크기가 같은 분수 중에 분자가 자연수의 배수인 수로 바꾸어 계산한다,(진분수)÷(자연수)를 분수의 곱셈으로 나타내어 계산하는 방법:[ex)5 분의3÷4=5분의3×4분의1=20분의3]사회-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원인,과정,결과:5.18민주화 운동(1980)광주 금남로 많은 사람이 모여있었는데 갑자기 무장한 군인들이 사람들을 때리고 잡아간다,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우리나라는 유신헌법에 따른 유신 독재 시대였다.유신 독재 시대에는 사람들의 의견 무시,국민의 기본 권리를 빼앗는 등 자유롭지 못한 삶을 살아야 했다.그런데 1979년에 일어난 대규모 유신 반대 시위 논의 과정에서 당시 대통령이었던 박정희가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이 피살 되고 국민들은 민주화 될 것을 기대했다.하지만 정두언이 중심이 된 새로운 군부의 군사 반란 12.12사태 일어났다.시민들은 이것을 반대하기 위해 민주화 운동을 하였다.광주에 계엄군을 보내 총을 쏘는 등 무력의로 진압했다.많은 사람이 죽고 다치고 잡혀가게 되었고 이에 분노한 시민들은 시민군을 조직해서 계엄군에 대항했다.5.18 민주화 운동은 부당한 정권의 맞서 민주주의를 위해 싸웠던 시민들의 열망과 의지를 보여주는 대단한 일이었다.이런 시민들의 노력을 기역하기 위해 1997년부터 5월18일을 국가기념일로 제정했다(국립 5.18 민주 묘지 추모탑)
이경희
2020.03.27 12:11
허솔비 :
4
강다은
2020.03.26 11:44
강다은 3/26
수학-자연수÷자연수의 몫을 분수로 나타내기
자연수÷자연수는 1÷자연수와 관련지어 생각할수 있다.
자연수÷자연수=나누는수가 분모가되고 나누어지는수가 분자가됨.
진분수÷자연수
분자가 자연수의 배수일경우 분자를 자연수로 나눌수 있다.하지만 분자가 자연수의 배수가 아닐경우 크기가 같은 분수중 분자가 자연수의 배수인수로 바꾸어계산한다.
사회 5ㆍ18 광주 민주화운동
원인:5ㆍ16 군사정변이후 우리나라는 유신헌법에따른 유신독재시대였음.유신독재 시대때는 사람들의 의견이 무시당하고 국민의 기본권리를 빼앗음.1976년10월26일 박정희대통령이 피살당하자 전두환이 중심이된 새로운 군부가 12ㆍ12사태를 일으키게됨.
과정:시민들은 이를반대하기위해 민주화운동을 하였고,광주에서도 민주화 운동이 일어남.
이러한 시위는 평화로운 시위였지만 신군부는 광주에 계엄군을보내 무력으로 진압함.
그결과 많은사람이 다치거나 죽고 잡혀가게 되었으며 이에 분노한 시민들은 시민군을 조직해 계엄군에게 대항함.
시민들과 시민군의 계엄군의 만행을 알리고 잡혀간 시민들을 풀어달라고 요구했지만 계엄군은 시민군을 무력으로 진압함.
결과:5ㆍ18 민주화운동은 부당한 정권에 맞서 싸웠던 시민들의 열망과 의지를 보여주는 대단한일이였다.
이러한 시민들의 노력을 기억하기위해 1997년부터 5월18일을 국가 기념일로 지정했다.
이경희
2020.03.27 12:11
강다은 :
반
이도원
2020.03.26 11:44
수정
삭제
이도원 사회:5.18 민주화 운동의 원인, 과정, 결과-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전 대통령이 피살되었다. 국민들은 민주화가 이루어질 것을 기대했으나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군부가 12.12 사태를 일으켰다. 시민들은 이를 반대하기 위해 민주화 시위를 벌였고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보았다.
수학:진분수 나누기 자연수- 분자가 자연수의 배수일 경우 분모는 그대로 써 주고 분자를 자연수로 나눈 몫을 분자 자리에 써 준다.
분자가 자연수의 배수가 아닐 때는 크기가 같은 분수 중에 분자가 자연수의 배수인 수로 바꾸어 계산한다.
이경희
2020.03.27 12:11
이도원 :
열
최하빈
2020.03.26 12:03
수정
삭제
최하빈 3/26 e학습터 수학:자연수 나누기 자연수의 몫을 분수로 나타내기 (자연수 나누기 자연수=나누어지는 수/나누는 수)와 진분수 나누기 자연수의 원리 (분자가 자연수의 배수가 아닐 때에는 크기가 같은 분수 중에 자연수의 배수인 수로 바꾸어 계산한다.)를 공부했다. 사회:5.18 민주화 운동-국민들이 민주화를 되찾기 위해 시위를 벌인건데 국민들이 시위 중 많이 죽어서 슬펐다. 학교가자 산타의 이야기를 보았다. 산타 말고 다른 요정들이 더 열심히 일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그리고 산타의 얼굴을 내가 예쁘게 바꿔주었다.
이경희
2020.03.27 12:11
최하빈 :
심
홍지우
2020.03.26 12:56
홍지우 3/26 [수학] (자연수)나누기(자연수)의 몫을 분수로 나타내기: (자연수)나누기(자연수)를 1나누기(자연수)로 관련지어 생각할 수 있다.(예:7나누기4는 1/4가 7개 이므로 답은 7/4)=(자연수) 나누기 (자연수)=나누어지는 수/나누는 수, 8/9나누기2를 계산하는 방법:분자가 나누는 수의 배수니까 8나누기2를 하고 분자는 냅둔다.=4/9 [사회] 5.18 민주화 운동 원인, 과정, 결과: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우리나라는 유신헌법에 따른 유신 독재 시대였다. -유신독재 시대에는 사람들의 의견을 무시하고, 국민의 기본적인 권리를 빼앗는 등에 국민들은 자유롭지 못한 삶을 살아야 했다. -1979년에 일어난 대규모 유신 반대 시위에 대한 논의 과정에서 박정희 대통령이 피살되었고 국민들은 민주화가 이루어 질 것을 기대했다. 하지만 전두환이 중심이 된 새로운 군부가 12.12 사태를 일으키게 됨. 시민들은 이를 반대하기 위해 민주화 운동을 하였고 광주에도 역시 민주화 운동이 일어났다.- 전두환이 광주에 계엄군을 보내 총을 쏘는 등 무력으로 진압했다.=그 결과 많은 사람들이 죽고 다쳤다. 이에 분노한 시민들은 시민군을 만들어 계엄군에게 계속해서 대항했다. 5.18 민주화 운동은 부당한 정권에 맞서 민주주의를 지키려고 싸웠던 시민들의 열망과 의지를 보여주는 대단한 일이었다.
이경희
2020.03.27 12:11
홍지우 :
히
민다연
2020.03.26 12:57
수정
삭제
1. e-학습터 (사회- 5.18 민주화 운동)-알게된 점 : 박정희의 유신정권- 박정희 피살- 12.12 사태- 전두환 군사 정권- 광주에서의 대규모 반발- 계엄군의 폭력적 탄압- 5.18 민주항쟁
(의의) 부당한 정권에 맞서 민주주의를 지키려고 한 시민들의 노력을 보여줌. 2. 학교가자- 과학: 자료변환과 자료해석(자료 변환- 표나 그래프로 나타내어 자료를 한 눈에 알아보기 쉽고 대략적인 규칙을 알 수 있음. 자료 해석- 자료를 해석해 그 의미를 확인하고, 자료 사이의 관계나 규칙을 알아보는 것)
이경희
2020.03.27 12:12
민다연 :
해
박지호
2020.03.26 13:02
5.18 민주화 운동의 원인,과정,결과:원인=유신독재 시대(사람의 의견을 무시하고 국민의 기본권리가 없는 시대)였지만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이 피살당했고 국민들은 민주화가 이루어질 것을 기대했다. 그러나 전두환을 중심으로된 새로운 군부가 12.12사태를 일으켰다. 시민들은 이것에 반대하기 위해 민주화 운동을 했다./과정:이 시위들은 전부 평화로운 시위였지만 신군부는 광주에 계엄군을 보내 총을 쏘는등 무력으로 진압했다. 이에 분놘 시민들은 시민군을 만들어 계엄군에 반항했다. 하지만 계엄군은 시민군을 다시 무력으로 지압했다./결과:부당한 정권에 맞서 민주주의를 위해 싸웠던 시민들의 열망과 의지를 기억하기 위해 1997년부터 5월 18일을 국가 기념일로 제정했다.
이경희
2020.03.27 12:12
박지호 :
줘
정희찬
2020.03.26 13:24
1. 사회 1980년 5월 광주 금강로에 사람들이 많이 모여있었다. 무장군인들이 시민들을 때리고 잡아갔다 유신헌법에 따른 유신 독재 시대였음(자유롭지 못함) 박정희가 피살되고 전두환이 중심이 됨 시민들이 반대해서 민주화 운동을 함 시민들의 의지를 기억하기 위해 국립 5.18 민주 묘지 추모탑을 세우고 1997년부터 5월 18일 국가 기념일 제정함. 수학 : 각기둥과 각뿔에 대해 배움.소수 나누기 자연수를 하는 방법을 배움.
이경희
2020.03.27 12:12
정희찬 :
서
오현석
2020.03.26 14:15
수정
삭제
수학:진분수÷자연수 (예)9분의5나누기5는 9분의1
(진분수÷자연수를배우고 공부햇다)
사회:5.18 국민의 민주화를되찾기위해버린시위
학교가자:산타이야기 산타보다요정이 더많이일햇다
이경희
2020.03.27 12:12
오현석 :
고
장은채
2020.03.26 15:35
수정
삭제
수학 : (자연수)/(자연수)는 나누어 지는 수를 분자, 나누는 수를 분모로 하는 분수로 나타낼 수 있다. (진분수)/(자연수)는 분자가 자연수의 배수인 경우는 분자를 자연수로 나누어 준다. 분자가 자연수의 배수가 아닌 경우는 진분수를 크기가 같은 분수로 만들어 준 후 분자를 자연수로 나누어 준다.
2. 사회 : 5.18 민주화 운동 원인(전두환이 중심이 된 군인들이 정변을 일으킴, 시민들의 민주화 운동을 탄압함.), 과정(광주에서 대규모 시위, 계엄군의 폭력적인 진압, 시민군을 만들어 군인들에게 대항, 강제 진압으로 수많은 사람의 희생), 결과(우리나라의 민주주의 발전에 밑거름이 됨, 세계여러나라의 민주화 운동에 영향을 줌.)
이경희
2020.03.27 12:12
장은채 :
마
김래건
2020.03.26 17:36
1.e학습터:수학,자연수 나누기 자연수:[자연수]나누기[자연수]=나누는 수 분의 나누아지는 수이다.분수 나누기 자연수 분자가 자연수의 배수일때 분자를 자연수로 나눌수있다.사회:5.18 민주화 운동 :5.18민주화 운동은 부당한 정권에 맞서 민주주의를 위해 싸웠던 시민들의 열망과 의지를 보여준다.학교가자:많은 컵타 동작들을 배웠다.
이경희
2020.03.27 12:12
김래건 :
워
이경희
2020.03.27 12:12
♡
임효경
2020.04.02 17:09
3/26 임효경 1. 수학 - 1, (자연수) ÷ (자연수)의 몫을 분수로 나타내기 / 계산방법 : 나누는수 분의 나눠지는수 2, (진분수) ÷ (자연수) 계산원리 / 진분수의 분자가 자연수의 배수가 아닐때에는 크기가 같은 분수 중에서 자연수의 배수인 분수로 바꿔서 계산한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