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과 마음이 건강한 5학년 6반 어린이들!
고구려 변화 |
|||||
---|---|---|---|---|---|
이름 | 최현민 | 등록일 | 17.09.18 | 조회수 | 2 |
고구려 무덤벽화가 다시 세인의 관심을 끌게 된 것은 1900년대부터이다. 1907년 프랑스 고고학자 샤반느(E. Chavannes)가 집안의 산연화총에서 벽화를 발견하고, 1908년 이를 학계에 보고함으로써 비로소 국제학계의 눈길을 끌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고구려 무덤벽화는 1908년의 정식보고 이전에도 그 존재가 확인되고 있는데, 1900년대 전반 강서군수에 의한 강서무덤의 조사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때의 조사는 학술적인 조사보다는 무덤 내부에 들어가 벽화를 확인하는 정도였다. 고구려 무덤벽화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 연구는 조선을 강점한 일제에 의해 이루어졌다. 1912년 세키노 타다시(關野貞)에 의해 강서무덤(江西大墓, 中墓, 小墓)이 조사된 이래, 매년 벽화무덤에 대한 발견과 조사가 계속되었고, 아울러 벽화 모사작업도 함께 진행되었다. 일제에 의해 조사, 보고된 고구려 벽화무덤은 평양 지역에서 15기, 집안지역에서 12기 등 모두 27기이다. 그러나 한가지 간과해서는 안 되는 것이 일제에 의한 고구려 무덤벽화 조사, 연구가 순수한 학술적인 것이 아니라, 그 이면에는 정치적인 목적이 내재되어 있다는 점이다. 조선의 식민통치를 정당화 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조선총독부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일제 어용학자들이 동원되어 조사가 이루어졌고, 그러한 조사의 기록으로써 만들어진 것 중의 하나가 고구려 무덤벽화 모사도이다. 오바 츠네키치(小場恒吉)가 도맡아 하다시피 한 평양지역의 무덤벽화 모사작업의 결과물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과 일본의 도쿄대학, 도쿄예술대학 등에 나뉘어 보관되어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에는 12개 무덤 130여 점의 모사도가 소장되어 있는데, 그 양과 질에서 가장 뛰어나다. 무덤벽화란 무덤이라는 특별한 공간을 화폭으로 삼아 완성된 그림이다. 죽음으로써 모든 것이 끝나지 않는다는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 죽은 자의 매장이며, 무덤이라는 별도의 공간은 내세에서의 삶을 위해 죽은 자가 머무는 곳이기도 하고, 내세의 삶이 꾸려지는 자리이기도 하다. 따라서 무덤벽화는 바로 죽은 자의 내세(來世) 삶과 연관될 가능성이 높다. 현재까지 확인된 삼국시대 벽화무덤은 모두 110여 기에 이른다. 이 가운데 백제와 신라의 것 각 2기, 가야의 것 1기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고구려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백제와 신라, 가야의 벽화무덤은 발견 사례도 적을 뿐 아니라 무덤을 만들고 벽화를 그린 시기도 6세기라는 특정 시기로 한정되어 있다. 무덤벽화란 무덤이라는 특별한 공간을 화폭으로 삼아 완성된 그림이다. 죽음으로써 모든 것이 끝나지 않는다는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 죽은 자의 매장이며, 무덤이라는 별도의 공간은 내세에서의 삶을 위해 죽은 자가 머무는 곳이기도 하고, 내세의 삶이 꾸려지는 자리이기도 하다. 따라서 무덤벽화는 바로 죽은 자의 내세(來世) 삶과 연관될 가능성이 높다. 현재까지 확인된 삼국시대 벽화무덤은 모두 110여 기에 이른다. 이 가운데 백제와 신라의 것 각 2기, 가야의 것 1기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고구려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백제와 신라, 가야의 벽화무덤은 발견 사례도 적을 뿐 아니라 무덤을 만들고 벽화를 그린 시기도 6세기라는 특정 시기로 한정되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고구려 무덤벽화 모사도 - 당시의 벽화를 복원 (국립중앙박물관 선정 우리 유물 100선) |
이전글 | 칼라 |
---|---|
다음글 | 방탄프랜드(컬러)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