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학년 1반

장미의 도도한 아름다움보다 여러 사람을 배불리기 위해 따스한 아름다움을 지닌 작은 새싹처럼, 꿈을 위해 나 자신이 먼저 알차게 영글어나가고 서로 돕고 발전하며 사랑과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들이 되어 봅시다.

서로 사랑하고 나눌 줄 아는 어린이 (심성)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지닌 어린이 (창의)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건강)

1) 일기쓰기를 통한 공감능력 기르기

2) 급식먹기를 통한 건강능력 기르기

3) 독서생활을 통한 탐구능력 기르기

4) 인사하기를 통한 예절능력 기르기



 


새롬반 꿈.틀.이(꿈은 틀림없이 이루어진다)
  • 선생님 : 최미애
  • 학생수 : 남 8명 / 여 4명

제주산방산

이름 전효빈 등록일 18.11.01 조회수 2

산방산과 용머리

산방산과 용머리 지역은 망망대해를 표류하던 네덜란드 사람 하멜이 처음 발을 디딘 곳으로 유명하다.

산방산은 평탄한 지형을 이루고 있는 제주도 서남쪽에 400m 높이로 솟아 있는데, 수성화산활동에 의해 형성된 용머리와 연결되어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하고 있다. 제주도에서는 주로 검은색 돌만 보다가 거대한 종모양의 산방산을 보게 되어 신비함이 더하다. 이런 종 모양의 거대한 화산암체를 용암돔(lava dome)이라고 한다. 용머리는 응회암으로 구성되어 있고, 층의 발달 양상으로 보아 응회환에 해당한다. 산방산은 조면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형성 초기에 분출로 인하여 만들어진 화산쇄설층이 있다. 이 화산쇄설층은 용머리응회환을 덮고 있다.

산방산 돔이 형성될 때 생긴 화산쇄설물이 용머리 응회암을 피복하고 있다. (33°14′10.8″N/126°18′45.8″E)

돔은 용암이 지표로 흘러나와 형성되거나 지하에서 계속 공급된 용암에 의해 만들어진다. 산방산은 화구로부터 분출한 조면암 성분의 용암이 높은 점성으로 인해 거의 흐르지 못하고 그 자리에 층상으로 누적되어 돔상을 이루는데, 조면암은 우리나라에서 제주도와 울릉도에서만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암석이다. 용암이 분출하여 돔을 만들 때는 화구 주변에서 소규모의 화산폭발이 일어나거나 돔의 붕괴를 포함한 폭발이 일어나는데, 이러한 분출은 가끔 인간이 예측하지 못하는 강력한 화산폭발을 일으켜 막대한 피해를 주기도 한다.

산방산에서 이러한 화산분출에 의해 만들어진 화산쇄설물이 용머리응회암을 덮고 있다. 이를 통해 용머리응회암이 만들어진 후에 산방산을 만든 화산활동이 일어난 것을 알 수 있다.

산방산은 아름답고 웅장한 자태로 많은 사람이 찾는 관광지로 유명하지만 화산활동을 연구하는 지질학자에게는 돔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생긴 화산쇄설물까지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산방산과 용머리에서 볼 수 있는 구조와 지층들

산방산에서는 지름이 2m 정도인 주상절리가 50여 m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용암에 의해 돔이 형성되면 부채꼴 모양으로 절리가 만들어지는데, 산방산에는 수직의 주상절리만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많은 부분이 침식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돔이 형성되는 기간 중에 화산폭발이 일어나 화산분출물이 산방산 주변에 쌓였는데, 산방산에서 화순으로 가는 고갯길에 용머리응회암을 덮고 있는 화산쇄설층이 바로 그것이다.

용머리는 바닷물이 응회환화산재층을 깎아 내어 분화구의 중심 부분이 절벽으로 남아 있다. 이 절벽 단면에 나타난 지질구조와 내부구조를 관찰함으로써 용머리응회환 형성의 다양한 비밀을 알 수 있다.

용머리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는 구조는 수성화산활동에 의해 응회물질이 쌓여 만들어진 층리이다. 해안절벽을 따라 평행층리, 파동형층리, 거대연흔, 탄낭, V-자형 하도구조, 미끄러짐구조, 퇴적동시성 단층등의 여러 퇴적구조들이 형성되어 있다. 평행층리, 파동형층리, 거대연흔 등은 빠른 속도의 화쇄난류에 의해 만들어지는 대표적인 퇴적구조들이다.

V-자형 하도구조는 수성화산분출 기간 중에 물이 침식을 일으켜 조그만 계곡을 만들고 후에 응회분출물이 채워져 만들어진 구조이다. 미끄러짐구조는 응회물질이 급한 경사로 쌓였거나, 화산 폭발의 충격으로 층이 무너져 내려 생긴다. 퇴적동시성 단층은 화산활동 기간 중에 쌓인 퇴적물이 화산폭발 충격과 함몰로 인해 생기며 화구 가까이에 주로 형성된다. 용머리응회환에서 지층의 경사와 주향이 갑자기 변하는 현상도 관찰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산방산과 용머리 (제주도 지질여행,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산방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