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 명 문 화 도 시 청 주 :: |
|||||
---|---|---|---|---|---|
이름 | 전수빈 | 등록일 | 17.09.16 | 조회수 | 139 |
첨부파일 | |||||
:: 청 주 소 개 첫 번 째 수암골 벽화마을 충북 청주시 상당구 수동로 15-4 한국 전쟁당시 피란 민들이 살면서 생겨난 곳 이며 좁은 집들이 다닥다닥 붙어 있는 동네입니다. 2007년 공공 미술 프로젝트 사업을 통해 골목길에 그림이 생겨 났고 드라마 카인과 아벨 제빵왕 김탁구 등을 통해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카페나 벽화 아기자기한 골목을 담으려 방문객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수암골에 가면 한 번쯤 들리는 맛집들 그 중 서문우동 고로케, 옛날 빵들이 대부분이고 일반 빵집에서는 느끼지 못하는 특별한 맛을 느껴보세요 ~ 두 번 째 청 남 대 충북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청남대길 646 충북 청원군 대청댐 부근 약 55만 평에 지은 대통령 전용 별장 ( 남쪽의 청와대 ) 대통령 별장은 이승만 대통령 시절부터 김해를 비롯해 4군데가 있었으나 , 김영삼 대통령 시절 모두 폐쇄하고 청남대 한 곳 만 남겨졌습니다. 청남대 전경은 철저히 비밀에 부쳐지다가 1999년 7월 1일 사진이 처음 공개 되었고 그 후, 대통령의 공식휴양지로 정착되었으며 2003년 4월 18일 20여 년간의 베일을 벗고 일반인에게 전면 개방되었습니다. 세 번 째 중 앙 공 원 충북 청주시 상당구 상당로 55번길 33 청주시 상당구에 자리한 청주 중앙공원에는 예전 청주읍성의 중앙에 있던 건물지에 만든 공원으로 은행잎이 오리발과 같이 생겼다고 하는 1000년 된 압각수 은행나무가 자리잡고있고, 청주 중앙공원 옆에 자리한 유명한 호떡집을 들려 호떡을 맛볼 수있답니다. 중앙공원 안쪽으로 들어가보면 정곡루란 편액을 달고 있는 이 전각은 누각이라기보다는 문으로 해석하고 있으며 충청도병마철도 사영문으로 나와 있습니다. 즉 충청도 전체를 관할하던 군사기관이 이곳에 있었고 그 출입문으로 사용했다는 것입니다. 당시 청주읍성에 충청도병마절도사영이 있었다는 것을 현재 충남 서산에 있는 해미읍성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그 해미읍성에서 이곳으로 옮겨온 것이기 때문입니다. 압 각 수 굵직한 나무 밑동이 수 많은 세월의 경과를 간접적으로 이야기해주고있답니다. 나무높이 20m, 둘레 약 8.6m 압각수란 뜻은 나뭇잎 또는 뿌리의 모양이 오리발 모양에 가깝다 하여 붙혀진 별칭이며 이 압각수는 청주의 수호신과도 같다고 합니다. 현재 충청북도 기념물 제5호로 지정되어있습니다. 네 번 째 고인쇄 박물관 충북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713 고려시대 이상국의 문집인 동국이상국집. 1324년에 지은 책으로 이 책 내용에 금속활자로 인쇄했다고 적혀 있어 13세기 초부터 금속활자를 사용했음을 증명해 주고 있답니다. 활자로 피운 꽃 직지 특별전이 열리고 있는 전시실. 청주 고인쇄박물관에서는 2011년부터 2015년에 걸쳐서 고려 금속활자 복원사업을 진행하여 금속활자 30,000여 자를 복원. 무려 638년 만에 다시 직지를 인쇄한 것이라고합니다. 다 섯 번 째 상 당 산 성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산성동 산 28-1 상당산성은 삼국시대 백제의 상당현에서 유래된 이름인 듯하며 둘레가 4㎞나 되는 거대한 포곡식 석축산성입니다. 상당산성의 3개 문 중 가장 대표적으로 유명한 공남문이 산행의 시작점을 알리며 남문은 상당산성의 정문으로 무지개문의 형태를 하고 있고, 무사석을 다듬어 11단으로 쌓았으며 이 문의 안쪽에는 옹벽이 있고 이 문을 보호가기 위해 좌우에 치성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상당산성이 처음 축성된 것은 백제시대 때 토성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 김유신의 셋째 아들 원정공이 서원술성을 쌓았다는 기록이 전해지며 이후 조선시대 선조 29년 임진왜란 당시 개축되었다가 숙종 때 석성으로 개축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과거에는 군사적 요충지였지만 현재는 사람들이 걷고 쉴 수 있는 여행지가 되었습니다. 중국에는 만리장성이 있고, 청주에는 상당산성이 있습니다. 성벽투어를 할 수 있는 청주의 유명 관광지 상당산성에서는 초보자들도 쉽게 역사 유적을 즐길 수 있습니다. 크기는 작지만 가벼운 마음으로 오르기에 좋아 모든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산성입니다. |
이전글 | 상당산성, 국립청주박물관 |
---|---|
다음글 | 직지,상당상성,가로수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