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학년 2반

우리 반 학급 중점은?

1) 건강한 몸 - 줄넘기(2학기)

2) 바른 인성

3) 기초학력 형성

4) 독서 마라톤(주 1권 의무)

5) [1학기]협업수업(스마트기기 활용)

6) [2학기]융합수업

 

미래 아이들
  • 선생님 : 지규선
  • 학생수 : 남 7명 / 여 6명

과학 수업

이름 지규선 등록일 18.03.08 조회수 36

식용 소다에 식용 구연산을 반응시켜 탄산수를 만드는 과정을 공부한다.
물론 물을 매개로 한다.
2시간 차시 통합 수업인데, 
먼저 디지탈교과서를 활용하여 아이들의 자기 주도 학습이 진행된다. (약 25분)
어제 그제의 경험으로 기기 사용법 관련 질문은 거의 없다.
학습 내용에 대한 몇 질문 빼고는.

물이 담긴 컵에 식용 소다 먼저 넣어 녹이고, 식용 구연산을 넣어 서서히 녹이면 기포가 (심각하게) 발생한다.
심각하다는 표현을 달리 말하면 거친 소리, 쏴아!

둘째 실험은 첫 실험과 유사하지만 차이점은 더욱 정교하게 가다듬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식용 소다 4g, 식용 구연산 2g을 전자 저울로 측정하여 탄산수를 만들라는 주문이다. 
그래, 가르치는 과정도 정교해야겠다는 생각에 아이들을 모둠별로 불렀다. 

T : 약포지 무게를 직접 재어 봐.
S : (전자 저울 켜고, 0점 조정을 한다. 약포지 무게를 잰다.)
T : 식용 소다를 몇 g 올려야 원하는 무게가 되지?
S : (약포지 무게가 1g이었다면 식용 소다 가루를 올렸을 때, 총 무게가 5g이 되어야 한다.)

첫 실험과 같이 소다를 먼저 넣고 구연산을 나중에 넣는다.  그리고 (선생님 허락하에) 맛을 본다. 
시큼한 구연산 맛에 찡그려진 얼굴들!

최종 정리 시간은 약 3분, 퀴즈로 5문제를 묻는다.

5교시 수학 전, 몇 아이를 꾸중하는 시간.
친구를 짜증나게 하거나 울리거나, 배려 못한 아이들. 
"기저귀에 배변하던 시기는 지났다!"
"점심 놀이 시간이 사라질 수도 있다."
자신을 통제할 나이가 되었다는 얘기에 아이들이 공감했다 한다. 
100날 속아도 믿어야 하는 그말들.

이전글 [방법론] Play스토어 앱 이용
다음글 정식 수업 시작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