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학년 4반

안녕하세요. 여러분! 항상 건강하고 밝은 우리반 학생들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공부짱 인기짱 운동짱 6학년 4반
  • 선생님 : 홍성진
  • 학생수 : 남 12명 / 여 11명

국어 숙제

이름 조윤주 등록일 16.05.31 조회수 76


독도에 사는 동물

조류 및 육상동물
지금까지 괭이갈매기, 바다제비, 슴새, 황조롱이, 물수리, 노랑지빠귀, 흰갈매기, 흑비둘기, 까마귀, 딱새 등 22종의 조류가 관찰되었으며, 곤충류로는 잠자리, 집게벌레, 메뚜기, 매미, 딱정벌레, 파리, 나비 등 37종이 보고된 바 있습니다. 
 어류
독도 및 인근해역의 대표적인 어류로는 오징어, 꽁치, 방어, 복어, 전어, 붕장어, 가자미, 도루묵, 임연수어, 조피볼락 등이 있으며, 전복, 소라, 홍합 등의 패류와 미역, 다시마, 김, 우뭇가사리, 톳 등의 해조류가 서식하고 있다. 그 외에도 해삼, 새우, 홍게 등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독도에 동식물이 많은 이유는 따뜻한 난류와 차가운 한류가 합쳐져 만나기 때문입니다.

독도에서는 2007년~2010년때 쓰레기를 수거한 결과 26톤을 수거 했으며, 올해에는 30톤에 이른다고 하였습니다. 이처럼 독도에 쓰레기가 넘처나는 이유는 독도는 난류와 한류가 합쳐져 동식물들이 많이 서식을 하기 때문에, 어부들이 동식물들을 많이 잡아간다고 합니다. 하지만 잡아가는 과정에서 폐테이어는 배가 항구에 닿을때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달아놓은 타이머가 떨어져서 이고, 폐그물은 물고기를 잡다 그물이 끊어지거나 배위에서 손질과 작업을 하다가 그물이 떨어진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하며 그물수만 해도 5000톤이 넘는다고 합니다. 관광객들 또한 독도를 많이들 보고가 바다위에 쓰레기를 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관광객들에게는 쓰레기는 휴지통에 버려달라고 하고, 배에 쓰레기통을 좀더 여유롭게  만들어달라 이의를 제기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어부들에게는 일주일 또는 한달의 그물 일정량을 정해서 그 그물 수만큼 쓰며, 어부가 사용한 그물망은 어부자기자신이 회수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이전글 국어 숙제
다음글 국어숙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