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을 하면 학급앨범을 볼 수 있어요.
논설문-소비자의 절제로 기념일 문화가 바뀐다. |
|||||
---|---|---|---|---|---|
이름 | 최주원 | 등록일 | 16.06.26 | 조회수 | 69 |
우리는 1년에 30번이 넘을정도로 우리에게 익숙한 문화로 자리잡은 기념일 문화를 일상에서 흔히 접할 수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기념일 문화가 너무 많아 돈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기념일 문화를 반대한다.하지만 나는 소비자가 절제한다면 기념일 문화는 좋은 문화로 자리잡을 수 있을것이라 생각한다. 첫번째로 기념일은 소비자가 절제한다면 소비자에게 큰 피해로 이어지지 않는다. 기념일 문화를 반대하는 사람들의 반대하는 가장 큰 이유는 돈일것이다.물론 1년에 30번이 넘는 기념일이 조금 많다고는 느껴진다.하지만 꼭 챙겨야할 기념일과 꼭 챙겨야할 사람들에게만 선물을 준다면 소비자는 많은 돈을 쓰지않고 공부 시간에도 큰 피해가 가지는 않을 것이다. 두번째로는 기념일로 인해 친구,연인,가족간의 우정과 사랑을 나누고 확인할 수 있다. 기념일을 맞아 친구,연인,가족과 선물을 나누며 서로 평소에 전하지 못했던 마음을 전할 수있다. 또 선물과 함께 작은 손편지까지 전한다면 소소하지만 기분좋은 기념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나 역시 빼빼로데이같은 기념일로 인해 친구들과의 우정을 나누고 소소하지만 기분좋은 기념일이 된경험이 있다. 세번째로는 기념일로 인해 소홀해졌던 대인관계를 회복할 수 있을것이다. 빼배로데이같은 기념일에 안친한 친구,혹은 사이가 멀어진 친구와 선물을 나누면 소홀해졌던 대인관계를 다시 회복할 수 있을것이다. 나도 빼빼로 데이 때 안 친한 친구와 더 친해진 경험이 있다. 나는 이처럼 친구,연인,가족간의 우정과 사랑을 나눌 수 있고 소홀해졌던 대인관계를 회복할 수 있는 기념일은 소비자가 절제하면서 선물을 구매한다면 좋은 문화로 발전할 수 있을것같다. 우리 모두 절제해 기분좋은 기념일 문화를 만들자.
|
이전글 | 00데이의 문제점들 |
---|---|
다음글 | 국어 논설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