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학년 1반

자유롭게 생각하고 몸으로 행동하는 꿈을 가진 사람이 되자!

꿈꾸는 교실 5기~^^
  • 선생님 : 김종호
  • 학생수 : 남 6명 / 여 3명

2모둠

이름 황영찬 등록일 18.09.10 조회수 26


여가는 일이나 생활에 필요한 활동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보내는 시간을 말합니다. 여가 시간에 이루어지는 놀이는 여러 사람이 모여 즐겁게 노는 활동을 말합니다. 여가 활동으로 할 수 있는 전통 놀이를 알아보고 즐겁게 참여하여 봅시다.



- 일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보내는 시간이나 이 시간에 이루어지는

- 여러 사람이 모여서 즐겁게 노는 활동, 자유롭고 자발적인 활동으로 경쟁보다는 즐거움과 재미가 중요하다.



- 스트레스를 풀 수 있어 정서적 발달을 돕는다.
- 신체적 활동을 통해 운동 능력을 증진한다.
- 놀이 과정에서 사회적 규칙을 익히고 사회성 발달을 돕는다.
- 의사소통 능력과 아동의 바람직한 성격 형성을 도와준다.

4) 여가와 놀이의 관계 알아보기

- 놀이는 여가 시간에 이루어지는 활동이다.
- 여가 시간에 이루어진 모든 활동이 놀이는 아니다.
- 여가와 놀이는 자유로운 선택으로 이루어진다.
- 여가 활동은 신체 건강, 친목 도모 등 목적이 있으나, 놀이는 즐거움과 재미에 의미를 두고 있다.

이미지 갤러리 가기

공기놀이

이미지 갤러리 가기

자치기

이미지 갤러리 가기

딱지치기

이미지 갤러리 가기

연날리기

2.옛날과 오늘날의 놀이 알아보기

1) 주로 했던 놀이 종류의 차이

▶옛날에 주로 했던 놀이
- 땅따먹기, 제기차기, 구슬치기, 연날리기, 씨름, 널뛰기, 사방치기, 공기놀이, 딱지치기 등이 있다.

▶오늘날 주로 하는 놀이
- 자전거 타기, 인라인 롤러, 배드민턴, 줄넘기, 축구, 캐치볼 등이 있다.

이미지 갤러리 가기

주로 했던 놀이 종류의 차이

2) 옛날과 오늘날의 놀이 특징과 변화

▶옛날
- 농업과 관련되거나 자연물을 이용한 놀이가 많다.
- 놀이 기구를 직접 만들어 사용하였다.
- 쉽게 할 수 있으며 놀이 자체에서 즐거움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

▶오늘날
- 산업화와 도시화로 개인이나 취미로 하는 활동이 많다.
- 놀이를 하기 위해서는 놀이 시설이나 도구를 사용하기 위해 큰 비용이 든다.

3) 전통 놀이를 되살리는 방법

① 전통 놀이의 좋은 점을 알리고 함께한다.
② 전통 놀이장을 만들어 언제나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3.전통 놀이의 특성

1) 널뛰기

- 주로 음력 정월이나 단오, 추석에 여자들이 하는 놀이로 긴 널빤지의 한가운데에 짚단이나 가마니로 밑을 괴고 그 양 끝에 한 사람씩 올라서서 마주 보고 번갈아 뛰는 놀이이다.
- 승부는 한쪽이 힘껏 굴러서 상대편이 발을 구르지 못하거나 널빤지에서 벗어나면 이기게 된다.
- 여자들이 바깥을 마음대로 출입할 수 없었던 유교 사회에서 바깥세상에 대한 동경과 호기 심으로 담장 곁에 널을 놓고 뛰면서 밖을 내다볼 수 있게 만든 놀이라고 전해 온다.
- 전신 운동으로 민첩성, 순발력, 유연성을 기를 수 있고 높이뛰기의 힘을 기른다.

2) 투호

- 연회 때 궁중이나 양반집에서 주로 하던 놀이로 유교적 예법을 익히는 하나의 수단으로 놀이를 하였다.
- 왕실과 양반 관료층 및 왕비를 비롯한 지배층 여성 등이 놀이하며 즐겼다.

3) 고싸움

- 정월대보름 즈음하여 마을 사람들의 협동심을 기르고 풍년을 기원하며 남자들이 했던 놀이이다.
- 상대편의 ‘고’를 밀어붙이거나 혹은 내리눌러서 땅에 닿도록 하여 승부를 가린다.
- 동부는 ‘수줄’이라 하고 서부를‘암줄’이라고 하는데, 암줄이 이겨야 풍년이 든다고 한다.
- 놀이를 통하여 마을 사람들의 협동심과 단결력을 다지는 집단 놀이라는 의의를 가진다.

4) 놋다리 밟기

- 정월 대보름날 밤에 부녀자들이 하는 놀이로 단장한 젊은 여자들이 공주를 뽑아 자신들의 허리를 굽혀 그 위로 걸어가게 한다.
- 조선 시대의 엄격한 사회 제도에서 여성이 남성을 쫓아내고 놀이를 즐겨 여성 해방의 날이라고도 한다.

5) 전통 놀이의 의미와 특성

- 조상의 생활 모습과 지혜를 엿볼 수 있다.
- 신분, 성별, 계절, 명절에 따라 다르다.
- 가정과 마을의 평화를 빌거나 풍년을 기원하는 놀이가 많다.
- 마을 사람들의 단결을 위하거나 겨루기와 내기를 위해 놀이를 한다.
- 놀이를 통해 공동체 의식을 기르고자 한다.

4.참고 자료 - 명절에 즐기는 전통 놀이

▶ 설날 (음력 1월 1일)
- 널뛰기, 팽이치기, 연날리기, 윷놀이, 장치기, 투호 등

▶대보름 (음력 1월 15일)
- 달맞이, 지신밟기, 차전놀이, 쥐불놀이, 놋다리밟기 등

▶단오 (음력 5월 5일)
- 그네뛰기, 씨름, 마당놀이, 줄다리기 등

▶추석 (음력 8월 15일)
- 소싸움, 농악놀이, 가마싸움, 강강술래 등

▶성별에 따라
- 남자: 팽이치기, 자치기, 연날리기, 고싸움, 제기차기 등
- 여자: 공기놀이, 수놓기, 각시놀이, 그네뛰기, 널뛰기, 강강술래 등

▶신분에 따라
- 양반: 시 짓기, 바둑, 장기, 투호, 서예 등
- 서민: 씨름, 고싸움, 쥐불놀이, 차전놀이, 연날리기 등

▶계절에 따라
- 봄: 그네뛰기, 씨름, 줄다리기, 농악놀이 등
- 여름: 방아깨비놀이, 복놀이, 두꺼비집짓기 등
- 가을: 강강술래, 달맞이, 소먹이놀이, 소싸움, 닭싸움 등
- 겨울: 연날리기, 제기차기, 팽이치기, 썰매 타기, 쥐불놀이, 차전놀이 등

이전글 발표자료
다음글 두얼굴의 에너지 원자력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