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려 말부터 발달해 온, 초장-중장-종장의 형태를 가진 우리 고유의 시를 무엇이라고 하나요?
답:시조
2. '단심가'에 나오는 '일편단심'이란 어떤 의미인가요?
변치않는 마음
3. 교과서에 '단심가', '하여가'를 읽고 물음에 답해 봅시다.
1). 이방원과 정몽주는 어떤 것으로 자신의 생각을 말하나요?
답:시조
2). 이방원과 정몽주는 각각 무엇에 빗대어 자신의 생각을 말하나요?
이방원:만수산 드렁칡이 얽혀진 모습
정몽주:백골이 진토된 모습
3). 인상에 남는 표현을 찾아보고 그 까닭을 말해보세요.단심가:"이 몸이 죽고 죽어,일백번 고쳐죽어"에 이방원에 생각이 잘 들어있는거 같다
4). 이방원과 정몽주의 생각은 무엇인가요?
-이방원 :세로운 나라를 새우자
- 정몽주 :고려의 향한 충성심은 변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