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려 말부터 발달해 온, 초장-중장-종장의 형태를 가진 우리 고유의 시를 무엇이라고 하나요? - 시조
2. '단심가'에 나오는 '일편단심'이란 어떤 의미인가요?
- 한 조각의 붉은 마음이라는 뜻으로,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변치 않는 마음을 이르는 말
3. 교과서에 '단심가', '하여가'를 읽고 물음에 답해 봅시다.
1). 이방원과 정몽주는 어떤 것으로 자신의 생각을 말하나요?
시조
2). 이방원과 정몽주는 각각 무엇에 빗대어 자신의 생각을 말하나요?
이방원 : 만수산 드렁칡이 얽혀진 모습
정몽주 : 백골이 진토된 모습
3). 인상에 남는 표현을 찾아보고 그 까닭을 말해보세요.
<일편단심>
- 한사람을 향한 마음이 변치 않겠다는 뜻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4). 이방원과 정몽주의 생각은 무엇인가요?
- 이방원 : 고려왕조를 향한 나의 마음은 절대 변치않는다
- 정몽주 : 신흥무인세력과 신진사대부가 같이 얽히면 어떻냐 같이 잘먹고 잘살아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