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학년 1반

안녕하세요. 2020년 6학년 1반이 된 것을 환영합니다.

바른 인성을 가진 학생이 되기를 바랍니다.

인성이 먼저다!
  • 선생님 : 이승은
  • 학생수 : 남 16명 / 여 11명

6월 10일 학습일기

이름 김서영 등록일 20.06.10 조회수 8

1,6교시에는 국어를 배웠다. 1교시 국어에서는 '타당한 근거를 들어 알맞은 표현으로 논설문 쓰기'를 배웠다.

 

서론,본론,결론

 

서론 : 글쓴이가 글을 쓴 문제상황과 글쓴이의 주장을 밝힌다

본론 : 글쓴이의 주장에 적절한 근거를  제시한다

결론 : 글 내용을 요약하고 글쓴이의 주장을 다시 한번 강조 한다

 

6교시 국어에서는 '속담을 사용하는 까닭 생각하기'를 배웠다.

 

평소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속담 3개

 

우물을 파도 한 우물만 파라

속뜻 - 하던 일을 자주 바꾸어 하면 아무 성과가 없으니, 한 가지 일을 끝까지 하여야 성공 할 수 있다 

 

독장수 구구는 독만 깨뜨린다  

속뜻 - 실현성 없는 허황된 계산은 도리어 손해만 가져온다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

속뜻 - 어려서 버릇은 고치기 어려워 늙어서간다는 말로 어려서 좋은 버릇을 지니라는 말

 

 

2교시에는 영어를 배웠다. 영어에서는 노래를 불렀닺

 

단어 쓰기

 

first : 첫 번째 

second : 두 번째 

third : 세 번째 

fourth : 네 번째 

fifth : 다섯 번째 

sixth : 여섯 번째 

seventh : 일곱 번째

eighth : 여덞 번째 

nineth : 아홉 번째

tenth : 열 번째

 

3교시에는 실과를 배웠다. 실과에서는 색종이나 정사각형 종이로 연필꽃이를 만드는 영상을 봤다.

 

4~5교시에는 사회를 배웠다. 사회에서는 단원정리를 했다.

 

4.19혁명

 

4.19혁명은 이승만 대통령 때의 일이다.

이승만 대통령은 자신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헌법을 여러 번 고치면서 독재를 이어갔다.

그러다가 4.19혁명의 첫 번째 원인, 3.15 부정선거를 하게 된다.

1960년 3월 15일에 부정선거를 한 사실이 드러나게 되고

수 많은 시민들은 이를 바로잡고자 시위를 시작하게 된다.

이승만 정부는 그 시위를 막기 위해 여러 가지 폭력적인 방법들을 사용하는데 그 과정에서 한 학생이 실종된다. 그 학생은 4월 11일 마산 앞바다에서 머리에 최루탄이 박힌 채로 떠오르게 된다.

그 학생이 바로 4.19혁명의 두 번째 원인이 되는 마산 김주열 학생의 시신이 된다.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전두환과 노태수를 비롯한 신군부 세력은 12.12사태를 일으켜, 서울을 자신의 병력으로 점령하게 된다.

이것이 바로 전두환 정권 독재의 시작이 되는 것이다.

전두환의 독재에 반발하고자, 전국의 대학생들은 대규모 시위를 계획하게 되는데 이걸 미리 눈치챈 계엄군들이 그 시위를 무산시키게 된다. 그러나 광주의 전남대학교 학생들은 계획대로 시위를 진행하게 되고, 계엄군의 군화에 짓밟히는 사건이 발생한다.

그 모습을 본 광주 시민들은 분노에 휩싸이게 되고, 이 대규모 시위에 동참하게 된다. 그것이 바로 5.18광주 민주화 운동이 된다.

이런 광주 시민들의 끝없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결국 5.18광주 민주화 운동은 당시에 누명과 비극적인 학살이라는 결과를 맞게 된다.

 

 

6월 민주항쟁

 

전두환의 독재가 계속되던 중 6월민주항쟁의 첫 번째 원인이 되는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이 발생하게 된다. 1987년 민주화 운동을 하던 박종철 학생은 남영동에서 고문을 당해서 죽게 된다. 

당시 정부는 이것을 은폐하고자 '책상을 탁 치니 억하고 죽었다'는 변명을 늘어놓기 시작한다. 결국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의 진실이 드러나게 되고, 이를 알게된 대학생들은 더더욱 민주화 운동에 기세를 박차고 참여하기 시작한다. 그 과정에서 6월 민주항쟁의 두 번째 원인이 되는 연세대학교 이한열 학생이 사망하는 사건이 빌생한다.

이한열 학생은 당시 경찰이 쏜 최루탄에 머리를 밎이서 사망하게 된다. 결국 이 사건은 전국민적으로 널리널리 퍼져서 범국민적 참여로 이어지게 된다. 범국민적 참여가 있었던 6월 민주항쟁은 전두환 독재에 반대하고 대통령 직선제를 요구한다.

결국 이 요구는 6.29선언으로 대통령 직선제가 받아들여지게 된다.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 쓰기

 

-(선거)는 민주주의의 꽃으로 국민의 대표를 뽑는 신성한 것이다.

-민주주의에서 국가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우리나라는 권력의 분산과 독재를 막기 위하여 (삼권분립)으로 권력이 세개로 나누어져 있고 이는 각각 (입법부),(사법부),(행정부)가 있다.

 

우리나라는 6.25전쟁이라는 힘든 시기를 겪고 '한강의 기적'이라고 불릴 정도로 눈부신 발전을 이루어 냈다. 이에 감사하는 우리의 조상과 할머니 할아버지께 감사의 편지를 써봅시다.

 

할머니,할아버지 6.25 때 우리나라를 위해 싸워주셨어서 감사합니다.

할머니,할아버지가 그때 계시지 않으셨더라면 지금의 저희는 존재하지 않았을거에요. 전쟁 당시 많이 두렵고 무서우셨을텐데 너무 존경스러워요. 감사합니다.

 

 

 

이전글 6월 11일 학습일기 (1)
다음글 6월 5일 학습일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