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학년 1반

안녕하세요. 2020년 6학년 1반이 된 것을 환영합니다.

바른 인성을 가진 학생이 되기를 바랍니다.

인성이 먼저다!
  • 선생님 : 이승은
  • 학생수 : 남 16명 / 여 11명

5월 12일 학습일기

이름 김서영 등록일 20.05.12 조회수 11
첨부파일

1교시에는 수학을 배웠다. 수학에서는 '각기둥 알아보기'를 배웠다.

20200512_190354

 


2~3교시에는 국어를 배웠다. 국어에서는 '이야기 읽고 요약하기'에

대해 배웠다. '누룽지 도둑을 잡아라'라는 이야기를 요약할것이다.

 

 

누룽지 도둑을 잡아라 

 

병태는 '달그락,달그락'거리는 소리를 듣고 밖으로 나갔다.

그때, 부엌에서 '달그락'소리가 나자 병태는 살금살금 부엌으로

다가갔다. 그 순간 부엌에서 누군가 튀어나와 도망쳤다.

그 사람은 고무신 한 짝이 벗겨진 것도 모른 채 헐레벌떡 도망갔다.

병태는 부엌으로 가보았는데 아껴 먹으려고 님겨둔 가마솥의 

누룽지가 사라져 버렸다.

 

다음 날 아침, 엄마는 수수팥죽을 차려오셨다.

병태는 팥죽을 먹으면 누룽지를 못먹기때문에 안먹는다고했는데

엄마가 먹기싫음 먹지말라고 화를 내셨다. 

병태는 엄마가 의심스러워졌다. 병태는 엄마한테 엄마가 내 누룽지

훔쳐먹은 범인이냐고 물어보고 범인이 아니면 이 고무신을 신어보라고 했다. 병태는 엄마에게 억지로 고무신을 신겨보았지만

엄마의 발은 너무 작아서 고무신이 헐렁거렸다.

이번에 병태는 아빠를 의심하였다. 아빠에게도 누룽지를 훔친 범인이

아니면 고무신을 신으라고 했다. 그런데 고무신은 아빠의 발보다

작았다. 

 

다음 날 병태는 앞집에 사는 대식이한테 은근슬쩍 너 신발 멋있다고 하면서 신발이야기를 꺼냈다. 대식이는 자신의 신발을 봤다.

멋있긴 커녕 더럽고 밑창까지 까진 신발이었다.

대식이는 병태한테 지금 나 놀리냐고 물었다.

병태는 순간 당황해서 아랫마을 순이가 네 멋진 신발을 보니

너까지 좋아졌다고 해서 부러워서 말한거라고 거짓말을 해버렸다.

대식이는 좋아서 몸을 베베 꼬며 말했다.

병태는 대식이한테 네 신발을 신어보겠다며 그동안 넌 고무신을 신으라고 하고 고무신을 건네줬다. 대식이는 더럽다며 아까 본 거지아이

신발하고 비슷하다고 말했다. 대식이는 저 다리밑에 거지들이 살고있다고 말했다.

 

병태는 대식이와 헤어진 후 다리로 달려갔다.

다리 밑에는 몸이 아픈 거지아저씨와 아이가 있었다.

그 아이의 한쪽 발은 맨발이였다. 아이는 아저씨한테 이것좀 먹으라며

눈물을 흘리며 돌아섰다. 아이는 순간 깜짝놀랐다.

자신의 고무신을 들고있는 병태를 보았기때문이다.

아이는 병태를 보자마자 도망치기 시작했다.

아이는 도망가느라 한쪽신발이 벗겨진것도 몰랐다.

병태는 고무신을 주어 두 짝을 맞춰보았는데 크기가 똑같았다.

병태는 드디어 범인을 찾았다고 생각했지만 병태는 기쁘지않았다.

다음 날 아침, 병태는 엄마가 해준 수수팥죽을 들고 집을 나섰다.

병태는 다리밑 아저씨에게 수수팥죽을 전해줬다.

그런데 어디에서 아이가 나와 아빠 건들지 말라고 소리쳤다.

병태는 아저씨가 아프신 것 같아서 수수팥죽 드리려고 온거라고 말했다. 아이가 병태의 말을 듣고 글썽거리며 누룽지 훔친거 나라고

미안하다고 말했다. 병태는 괜찮다고 말했다.

 

 

5교시에는 음악을 배웠다. 음악에서는 '네 잎 클로버'에 대해 배웠다.

'네 잎 클로버'를 되게 오랜만에 듣고 불러서  '네 잎 클로버'라는

곡이 반갑게 느껴졌다.

 

6교시에는 과학을 배웠다. 과학에서는 '계절에 따라 보이는 별자리가

달라지는 까닭 알아보기'를 배웠다.

계절에 따라 보이는 별자리가 달라지는 까닭은 지구의 공전하면서

지구의 위치도 달라지고 이에 따라 보이는 별자리도 달라진다.

태양과 같은 방향에 있는 별자리는 태양 빛 때문에 볼 수 없지만

태양과 반대 방향에 있는 별자리는 관찰 할 수 있다.

그 별자리 중에서 그 계절에 가장 오래 보이는 별자리를

우리는 계절의 대표 별자리라고 부른다.

따라서 지구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공전함에 따라 계절별 별자리가

달라졌는데 봄에는 거문고자리,사자자리,오리온자리를 볼 수 있지만

가장 길게 보이는 사자자리를 봄철 대표 별자리라고 한다.

태양 반대편에 있는 가을철 대표 별자리인 페가수스 자리는

태양빛 때문에 볼 수 없다.

 

이전글 5월 13일 학습일기 (1)
다음글 5월 11일 학습일기 (1)